2015년 도입된 학교주관 교복 구매제도. 제도 시행 10년이 지난 현재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 공급자인 교복업체, 주체인 학교까지 불만을 쏟아내며 제도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저품질, 선택권이 없는 강요, 입찰 스트레스, 각종 민원 등 교복 구매제도는 모두에게 외면 받는 골칫거리가 된지 오래다. 경기신문은 학교주관 교복 구매제도에 대한 불신 원인을 짚어보고 대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거품’ 뺀 교복 가격?…10년 후 ‘불만’만 쌓였다
②현물 지급으로 불만 초래…바우처 제도 전환해야
③보풀은 기본, 재봉은 엉망…저품질 교복 ‘부글부글’
<계속>
무상교복 지원을 통한 학교주관 교복 구매제도가 시행된 이후 학부모 만족도와 품질 저하는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교복시장을 바라보는 의류업계에서는 교복 품질은 10년 사이 현저히 낮아진 반면 가격은 올라간 상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소비자인 학생과 학부모 역시 교복 품질 대비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는 불만을 품는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교복 평균 가격은 동복의 경우 재킷은 8~9만 원, 셔츠는 5~6만 원, 조끼는 4만 원, 바지는 6~7만 원 수준이다. 하복은 상‧하의 모두 6~7만 원이며 체육복과 생활복은 각각 8~14만 원, 10~12만 원 수준에 거래된다.
전문가들은 섬유 혼용률 등을 따져보면 교복 가격은 일반 의류 가격에 비해 상당히 비싸게 책정돼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교복의 경우 일반 의류와 달리 입찰을 통해 납품하는 만큼 마케팅 비용과 재고부담이 적고 유통이 단순해 가격이 높게 책정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장남경 한세대 섬유패션디자인학과 교수는 “원단에 따라 제품 가격이 책정되는 만큼 교복의 합리적 가격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현재 유통되는 교복 가격은 지나치게 높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 의류 기준으로 조끼, 가디건 등 니트류에 울 50%가 혼용됐어도 좋은 품질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교복이라는 브랜드가 갖는 특성상을 감안해도 일반 의류와 비교하면 결코 적은 가격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복은 소비자가 특정돼 있고 교복 제작 외 홍보 등 부가적인 것을 고려하면 가격은 낮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학부모 역시 교복 품질은 일반 의류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고 입을 모은다.
수원에 거주하는 한 학부모는 “2만 원짜리 보세 슬랙스보다 교복 바지가 4배 비싼데도 몇 번만 빨아도 보풀이 생기고 재봉 상태도 엉망이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용인에 거주하는 다른 학부모 역시 “아들의 체육복이 너무 쉽게 찢어져 일반 의류 브랜드에서 비슷한 디자인의 체육복을 구매했다”며 “가격은 교복업체에 비해 절반 이하였지만 옷감은 훨씬 튼튼했다”고 말했다.
2022년 한 교복업체가 학생과 학부모 213명을 대상으로 한 ‘학교주관 교복 구매제도 만족도’ 조사 결과, 교복 불만족(15%)의 주된 이유는 품질 저하였다.
무상으로 지급되는 교복의 ‘저품질, 고비용’ 불만은 학교주관 구매제도가 아닌 소비자가 선택하는 제도 변화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 제도는 업체가 제시된 조건에만 맞추는데 급급해 품질개선 노력을 게을리하고 소비자 권리가 박탈되면서 업체가 경쟁에 나서지 않아 교복 가격 하락은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복업계 관계자는 “학교주관 구매제도가 품질 개발 발목을 잡고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교복이 최저가 입찰제다보니 입찰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가격을 최대한 낮춰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낮은 금액을 제시하는 업체가 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교가 주관해 아무리 품질 좋은 교복을 찾으려 해도 교사가 원단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품질개선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며 “업계 자체적으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소비자 선택권 부여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