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제 끝날지 모를 굴포천 복원사업 공사로 인근 상인들이 절망에 빠졌다.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부평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부평구청까지 약 1.2㎞ 복개구간의 콘크리트를 걷어내 새 물길을 만드는 것이 뼈대다.
이를 통해 시민들이 자연을 만끽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생태하천으로 조성된다.
하지만 지난 2023년 말 준공 예정이었던 공사는 이런저런 이유로 올해 9월로 연기됐다. 2년 가까이 늦춰진 셈이다.
이마저도 불투명하다.
공사를 맡고 있던 삼부토건이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해 더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삼부토건은 부채비율이 800%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 지연으로 특히 사업 2구간 상인들의 피해가 크다.
2구간 복개천 위는 공영주차장으로 활용됐었지만 3년 전인 지난 2022년 주차장이 사라지자 손님들의 발길은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구가 부랴부랴 새로 공영주차장을 조성했지만 2구간과는 걸어서 15분이나 걸리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상인들의 설명이다.
참다못한 일부 상인들이 구에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나서야 음식점 당 한 두 대의 주차공간이 확충됐을 뿐이다.
상인들은 25~30㎝의 콘크리트 바닥을 드러내는 공사를 할 때 소음, 분진, 악취, 균열 등 피해도 호소하고 있다.
인근 아파트와 연립주택 주민들도 피해는 마찬가지다.
상인들은 준공이 연이어 연기되자 구에 내용증명을 보내 진입계단, 공영주차장, 주차타워 등의 방안을 수차례 요구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뤄진 것은 없다.
전제선 주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준공이 계속 연기돼 매출이 4분의 1 이하로 떨어져 바깥으로 내몰릴 지경”이라며 “부가세 면제나 저금리 대출 등 보상이라도 좀 해 달라”고 토로했다.
하지만 구는 상인들의 보상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상인들의 피해는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토지 관련 법규에 따른 보상이나 영업 보상이 필요한 곳은 이미 보상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어 “또 법적 테두리 이외에 피해의 경우 임의적으로 보상할 수는 없어 곤란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기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