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영흥에코랜드 부지 활용방안을 찾기 위한 2차 수요조사를 마쳤지만 쉽사리 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수요조사만으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유정복 시장의 대선 출마까지 겹쳐 정책 결정이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시에 따르면 시 각 부서와 산하기관 및 군·구를 대상으로 지난 4일까지 영흥에코랜드 부지 활용에 대한 2차 수요조사를 진행했다.
2차 수요조사에서는 1차 때 제시됐던 활용방안들에 더해 일부 새로운 계획들도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1차 수요조사에서는 인천식물원, 반려동물 테마파크, 관광단지, 신재생에너지 기반 산업클러스터 등이 제시된 바 있다.
이 가운데 옹진군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앞서 옹진군은 2023년 진행한 1차 수요조사에서 농·수산 경제단지 조성을 활용방안으로 제시했다.
이번 수요조사에서도 에코랜드 부지 일부에 친환경 양식시설과 가공·유통·물류 단지를 갖춘 수산업 경제단지 조성 계획안을 제출했다.
이를 위해 군은 해양수산부의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 공모에도 참여했다. 하지만 지난달 해수부 공모에서 탈락하며 수산업 경제단지 추진에는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 외에 해상풍력발전 배후항만으로 영흥에코랜드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현재 검토되고 있다.
1단계로 인천신항 1-2단계 동측 부지에 해상풍력발전 배후항만을 조성하고, 이후 영흥에코랜드 부지와 연계해 투트랙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제출받은 계획안들을 검토한 뒤 활용 가능성과 정책 적합성 등을 따져 최종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최종 방안 결정까지 얼마나 걸릴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특히 시정 방향을 최종적으로 결정해야 할 유 시장이 최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휴가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시정 중심에 있어야 할 지역 현안이 시장의 대선 행보 속에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당초 영흥에코랜드 부지는 민선7기 박남춘 시정부에서 자체 쓰레기매립지 조성을 위해 617억 원을 내고 매입했다.
이후 민선8기를 이끌게 된 유 시장이 쓰레기매립지 정책을 백지화하며 에코랜드 부지 활용방안을 둘러싼 논의가 시작됐다.
시 관계자는 “정책 결정 사항인 만큼 담당 부서에서 일방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종합적인 판단을 거쳐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