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1.8℃
  • 구름조금강릉 23.2℃
  • 구름많음서울 21.7℃
  • 구름많음대전 24.6℃
  • 구름많음대구 23.7℃
  • 구름많음울산 21.2℃
  • 구름많음광주 24.6℃
  • 흐림부산 17.3℃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9.4℃
  • 구름많음보은 22.3℃
  • 구름많음금산 24.5℃
  • 구름많음강진군 22.0℃
  • 구름많음경주시 25.4℃
  • 구름많음거제 17.9℃
기상청 제공

환율 올라도 유가 급락에…수입물가 두 달 연속 하락

국제유가 하락세 지속...3월 수입물가 0.4%↓
1~3개월 시차 소비자물가 반영 "상방 압력 제한"

 

환율이 오름세를 이어가는 가운데에서도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수입물가가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이에 따라 향후 소비자물가에도 하방 압력이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 하락하며 2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월 1445.56원에서 3월 1456.95원으로 0.8% 상승했으나, 같은 기간 국제유가가 더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수입물가 전반을 끌어내렸다.

 

실제 지난달 두바이유 월평균 가격은 배럴당 77.92달러에서 72.49달러로 7.0%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9% 내림세다. 이에 따라 광산품을 중심으로 한 원재료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3.3% 줄었다. 반면 중간재는 0.7%,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1.6%, 0.9% 상승해 대조를 이뤘다.

 

계약통화 기준으로 보면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1.4%, 전년 동월 대비로는 4.9%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는 이달 들어서도 평균 대비 5.4%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환율이 소폭 상승했지만 변동성이 커, 이달 말까지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입물가는 대체로 1~3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최근 유가 하락이 이어진다면 소비자물가의 상방 압력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팀장은 “소비자물가는 농산물, 외식 서비스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내 생산자 가격과 기상 여건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3월 수출물가는 환율 상승에 힘입어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의 오름세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6.3% 올랐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0.7%, 전년 동월 대비로는 2.5% 각각 하락했다.

 

수출입 물량과 금액 지수도 나란히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4% 증가했고, 수출금액지수는 0.9% 상승했다. 수입물량지수는 5.1%, 수입금액지수는 1.8% 각각 올랐다.

 

상품 수출가격보다 수입가격이 더 크게 떨어지면서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8% 상승했다. 이에 수출물량 증가까지 더해져 소득교역조건지수는 4.3% 오르며 우리 무역 여건 개선에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