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종 위법 사실이 드러난 인천 계산종합의료단지 도시개발사업이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계산종합의료단지 도시개발에 대한 사업 기간이 올해 12월 31일로 기존 계획보다 1년 더 연장됐다.
계산종합의료단지는 계양구 계산동 산52의 11 일대 2만 1926㎡ 부지에 종합병원 1개동과 요양병원 2개동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당초 이 사업은 지난 2017년 1월 시로부터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 2019년 1월 말 완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사업 완료 시점을 코앞에 둔 2019년 1월부터 사업 기간이 1년씩 연장되기 시작했다.
시는 올해까지 7번이나 사업 기간을 연장해줬고, 이로 인해 사업은 6년째 지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업시행자인 서송병원 측이 요양병원으로 허가받은 건물을 재활병원으로 운영한 사실까지 드러나 특혜 및 위법 논란이 불거졌다.
당초 서송병원 측은 170병상을 갖춘 종합병원 1개동과 690병상을 갖춘 요양병원 2개동 등 모두 860병상을 운영할 계획을 세워 실시계획 인가를 받은 바 있다.
이를 어긴 채 요양병원 건물 일부를 472병상을 갖춘 재활병원으로 운영해왔지만 인가권자인 시는 수년간 파악조차 못하고 있었다.
결국 시는 지난해 2월 재활병원을 요양병원으로 환원하라는 시정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서송병원 측이 행정절차 등을 이유로 환원 준비에 5년이 필요하다는 계획서를 제출한 뒤 시가 이를 수용하자 다시 한 번 논란이 불거졌다.
게다가 서송병원 측이 시에 제출한 행정처분 이행계획에 당초보다 병상 수를 대폭 확대한 내용이 제시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종합병원 170병상을 250병상 이상으로, 요양병원 690병상을 250병상 이상으로, 일반병원 430병상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추진계획에 대해 시의회에서도 우려가 제기됐다. 지난해 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계산종합의료단지 문제를 살피기 위해 소위원회를 구성한 바 있다.
지난 9일 열린 계산종합의료단지 도시개발사업 소위원회 제4차 회의에서 김대중(국힘·미추홀구2) 건설교퉁위원장은 “서송병원 측이 제시한 안은 시의 행정처분 내용을 크게 벗어나는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시는 서송병원 측의 계획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송병원 측의 병상 수 확보 계획은 시에서 충분히 검토해 분명히 짚을 것”이라며 “그동안의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