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할 중장기 스마트도시 전략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9일 시청 산성누리홀에서 ‘2026~2030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향후 5년간 추진할 스마트도시 비전을 공유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이진찬 부시장과 자문단, 관련 부서장 등 30여 명이 참석해 추진 방향과 전략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계획은 ‘성남시 스마트도시계획(2021~2025)’ 종료에 맞춰 새로 수립되는 것으로, 시는 현재까지 교통·환경 등 6개 분야에서 28개 서비스 가운데 80%를 완료했다.
신규 계획은 신도심과 원도심의 격차 해소,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인프라 확대, 전략산업 육성을 핵심 과제로 삼는다.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모빌리티 등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해 ‘성남형 4차산업 혁신도시’로 전환을 꾀할 방침이다.
시는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중심으로 계획을 구성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설문조사, 리빙랩,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도시 여건을 분석한다.
시 관계자는 “성남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이 탄탄한 도시로, 스마트도시 선도 지자체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며 “현실에 기반한 전략을 마련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마트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