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도, 이념도 중요하지 않다.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인물이 대통령이 돼야 한다.”
대선을 앞두고 중소기업계가 정치권에 경제 회복을 향한 절박한 메시지를 보냈다. 특히 ‘제조업 부흥’을 차기 정부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며, 노동규제 개선과 실효성 있는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본회관에서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방향 대토론회’를 개최하고, 현장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제조 중소기업, 소상공인, 벤처기업 대표 등 참석자들은 “대기업 중심 정책은 한계에 도달했다”며 “한국경제의 체질을 중소기업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기중앙회가 최근 발표한 ‘2025년 5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업황전망지수(SBHI)는 75.7로 전년보다 3.5포인트 하락했다. 경기 위축이 계속되는 가운데, 기업인들의 체감 경기는 갈수록 냉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선 제조업 경쟁력 회복이 필수”라며 “중소기업이 주도하는 성장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기 대통령에게 기대하는 역량으로도 ‘경제성장 견인 능력’이 75.7%(복수응답)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소통 능력’(33.8%), ‘사회통합 능력’(21.9%)이 뒤를 이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우리나라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선진국 대열에 올라섰지만, 현재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이 첨단산업 육성과 제조업 기반 확충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우리 역시 ‘대통령 직속 중소제조업 혁신전환위원회’ 같은 범정부 기구를 구성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동 규제 개선의 목소리도 높았다. 김 회장은 “중소기업은 근로시간이 곧 생산성인데, 주 52시간제가 납기 대응과 R&D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글로벌 기준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제도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소상공인들은 긴급 지원금 지급, 정책금융기관 설립, 공공요금 완화, 주휴수당 폐지 등 현실적인 정책 개선을 요구했다. 벤처기업계는 벤처투자 시장 확대와 규제 혁신을 통한 혁신 생태계 복원을 차기 정부에 당부했다.
중소기업계는 “정치적 진영 논리에 갇히지 말고, 경제 회복을 위한 실용적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