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울 강남·종로 등 전통적 도심 업무지구의 높은 임대료 부담과 그룹 내 시너지 창출 필요성이 맞물리면서, 대형 건설사들이 잇따라 사옥을 서울 외곽으로 옮기고 있다. 특히 서부권의 신흥 비즈니스 중심지로 떠오른 마곡지구가 새로운 ‘건설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그룹 전 계열사는 오는 하반기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의 ‘원그로브(ONE GROVE)’로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대상은 DL이앤씨, DL건설, DL케미칼, DL에너지, 글래드호텔앤리조트 등 전사(全社) 계열사로, 하나의 공간에 집결함으로써 그룹 차원의 업무 효율성과 시너지 극대화를 노린다.
롯데건설도 마곡 이전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현재 외부 건물에 입주한 플랜트사업본부와 토목사업본부가 대상이며, 임대 계약 만료 시점(올 가을~내년 초)을 앞두고 ‘르웨스트 시티타워’와 ‘케이스퀘어 마곡’ 두 곳을 후보지로 고려 중이다. 두 건물 모두 롯데건설이 시공했으며 일부 지분도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아직 최종 결정은 아니지만 두 곳 모두 가능성이 높은 후보”라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오는 2027년 하반기 종로구 수송동 사옥을 떠나 영등포구 양평동에 신축 중인 복합센터로 본사를 옮긴다. 신사옥은 SK에코플랜트가 직접 시공 중이며, 자회사인 SK에코엔지니어링도 함께 입주해 통합 사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현재 본사가 위치한 용산 아이파크몰을 떠나 2028년까지 노원구 광운대역세권 개발 사업지 인근으로 사옥을 옮길 방침이다. 이 지역은 HDC현대산업개발이 직접 시행·시공을 맡은 대규모 복합 단지 개발 현장으로, 사옥 이전과 개발사업을 병행하는 전략적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이앤씨는 서울 강북권 도시정비사업 수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본사 조직의 용산 이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진행 중인 용산 정비창 재개발 사업에서 HDC현대산업개발과 경쟁하는 상황에서, 전략적 위치 선점을 위한 행보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대형 건설사들이 잇따라 마곡을 비롯한 서울 외곽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마곡지구는 서부권의 핵심 오피스 지역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이미 LG그룹, 코오롱, 이랜드 등 주요 대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이번 DL과 롯데의 이전 결정이 ‘마곡 러시’를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도심 임대료는 최근 3년간 10% 넘게 올랐지만, 마곡과 양평 등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준”이라며 “교통·생활 인프라가 빠르게 갖춰지며 이른바 ‘외곽 프리미엄’이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대형 건설사들이 사옥 이전과 자체 개발사업을 결합한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핵심 계열사를 한 데 모아 디벨로퍼 역량을 강화하려는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