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연말까지 내년도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구와 최근 2개년도 시군 신청 사업지구 등 도내 약 80개 지구에서 드론 기반 3차원(3D) 영상 지적재조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6일 도에 따르면 지적재조사사업은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종이지적도를 디지털 지적으로 전환하는 국책사업이다.
토지의 정확한 경계를 확정해 이웃 간 분쟁을 해소하고 도로가 접하지 않는 맹지에 진입로를 확보하는 등 토지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도는 이번 조사부터 3차원 기술을 처음 적용해 측량 및 현장조사 절차를 크게 간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기존에는 드론을 활용한 2차원 영상 촬영만 가능해 추가 측량이 불가피했으나 이번 3차원 영상 도입으로 지형의 높낮이와 건축물의 입체적 구조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확보한 3차원 영상은 시군과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에 제공되며 경기부동산포털을 통해 행정기관 간 공유된다.
사업지구 지정 전 현황 파악은 물론 주민설명회와 경계 협의 과정에서 시각적 이해를 돕고 성과 검사 단계에서는 정확한 검증 자료로 활용돼 사업의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도는 지난달 화성 수촌1지구를 시험지구로 선정해 3차원 영상을 시범 적용하고 현장에서 지적재조사위원회를 열어 기술 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손임성 도 도시주택실장은 “드론 기반 3차원 지적재조사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적정보를 확보해 도민 재산권 보호와 함께 행정의 디지털 전환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선 8기 들어 도는 총 281개 지구(6만 6389필지, 42㎢)에서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해 왔다.
도는 향후 경기부동산포털을 통한 영상자료 제공을 확대하고 공간정보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서버 확충 등 기술적 기반 정비도 병행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우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