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탄소중립 실현할 ‘전기자동차’ 보급…인천 수요 다시 증가하는데 예산은?

2022년 1214억에서 올해 412억…3년 새 66% 감소
수요 정체 현상 ‘캐즘’서 벗어나 판매량 회복 양상
원인…신차 출시 효과에 중저가형 모델로 선택권 확대
전기 화물차 수요 증가로 추경에 구매 보조금 확보

 

탄소중립을 실현할 전기차의 수요가 최근 인천에서 다시 증가하는 가운데 쪼그라들었던 ‘예산’도 같이 늘어날까.

 

지난해 8월 청라 화재 사고 여파로 전국적으로 전기차 인기가 주춤했지만 반등하는 분위기다.

 

17일 시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 보조금 예산은 국비 포함 2022년 1214억 원에서 2023년 935억 원으로 감소하다 급기야 2024년 464억 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전년보다 적은 412억 원으로 편성됐다. 3년 전과 비교하면 66%나 감소했다.

 

예산이 이렇게 준 데에는 수요가 일시적으로 정체하는 현상인 ‘캐즘’ 때문이라는 설명이 우세하다.

 

시 관계자는 “2022년에는 시가 전기차를 실질적으로 1만 1900대를 보급하는 등 보급률이 가장 높았다”며 “그 이후에는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하향 곡선을 그렸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청라 전기차 화재가 발생해 수요가 더 급감할 것이라 예상해 이번해 예산은 (전국적으로도 그렇고) 소극적으로 세우게 됐다. 작년 기준으로 80%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올해는 다시 회복세로 점쳐진다.

 

배터리·전기차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공개한 지난 1∼6월 세계 각 나라에 등록된 전기차는 약 946만 9000대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 출시 효과가 컸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올해 상반기 새로 등록된 신차 9종 중 5종이 전기차였다는 점도 있지만 중저가형 모델로 인해 선택권이 확대됐다는 점도 원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인천에서는 전기 화물차 인기가 컸다.

 

올해 시의 1차 전기차 보급 사업 때 화물차종 수요가 많아 추경에 관련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중립 사업에 한창이다.

 

지난해 4월에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친환경차인 전기차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도 설정했다.

 

다만 인천의 전기차 보급률(전체 차량 대비 전기차 비율)은 2022년 1.6%, 2023년 2.3%, 2024년 3.1%, 지난 6월 기준 3.9%로 조금씩 오르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휴가철인 지난 1일부터 12일까지 자동차 10만대 가량이 인천을 떠나면서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라, 주안, 부평의 지난 1~6월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각각 45㎍/㎥, 39㎍/㎥, 38㎍/㎥이었다.

 

하지만 이번 휴가철은 23㎍/㎥, 31㎍/㎥, 32㎍/㎥로 기록됐다. 최소 18.2%에서 최대 48.8%까지 낮았다.

 

국내 환경 기준은 PM2.5(2.5μm 이하의 미세먼지)당 24시간 평균 35㎍/㎥ 이하, PM10(10μm 이하의 미세먼지) 50㎍/㎥이하를 권고하고 있다.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이산화질소·일산화탄소·아황산가스 등 농도도 크게 개선됐다.

 

이들 차량의 교통량 감소가 대기질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친환경 교통 수단 관련 예산을 늘려 전기차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 등록된 전기차가 전국에서 3, 4위는 된다”며 “그렇지만 전기차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이 예산을 확보하려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