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완벽해야 해” 강박, 청소년 외모 집착 넘어 섭식장애로 번진다

2024년 거식증 환자 절반 청소년…여성 환자 비율 압도적
신경성 식욕부진·대식증 등 대표적 유형, 조기 발견 중요
외모 집착·또래 관계·SNS 영향이 주요 발병 요인

 

“완벽해야 해”라는 강박은 청소년들에게 외모 집착으로 이어지고, 어느 순간 먹는 것조차 두려워하게 만든다. 이는 정신과 신체 건강을 동시에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4년 섭식장애 중 하나인 거식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가운데 10~19세 청소년 환자가 절반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성 2525명, 여성 1만 1885명으로 여성이 크게 많았다.

 

섭식장애는 음식 섭취 행동에 이상이 생기는 정신건강 질환이다. 체중이 표준체중의 80% 이하거나 체질량지수(BMI)가 17 이하일 때 의심해야 한다.

 

대표적 유형으로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대식증이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음식을 극단적으로 제한해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질환이며 신경성 대식증은 반복적인 폭식 후 구토, 설사약·이뇨제 남용으로 이어져 신체에 큰 부담을 준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불안정한 시기다. 외모 집착, 또래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SNS와 미디어의 영향 등이 섭식장애 발생 위험을 높인다.

 

섭식장애는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자존감 저하,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다.

 

 

김수진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섭식장애는 단순히 음식 섭취의 문제가 아니라 청소년기의 정신 건강과 깊이 연결돼 있다”며 “조기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울증, 불안장애, 심한 경우 자살 위험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소년 스스로도 자신의 감정과 신체 변화를 살피고, 변화가 나타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