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2025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복지돌봄 분야’ 주관기관 최종 선정

약물,운동,영양 관리 아우르는 AI기반 노인 맞춤형 예방 서비스 개발

 

분당서울대병원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프로젝트명 DEF-H, 총 연구비 175억 원, 담당 PM 이승규)’으로, 연구팀은 ‘지역사회 돌봄을 위한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노쇠 관리·예방 서비스’를 제안했다.

*DEF-H: Defense-Enhanced Personalized AI Care Service for Frailty Prevention in a Hyper-Aged Society

 

본 과제는 다양한 의료·건강 데이터를 결합한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해 노쇠 발생 위험도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인건강종합평가 ▲맞춤형 약물·운동·영양 중재 ▲노인 대상 건강관리 플랫폼을 개발해 노쇠로 인한 건강 악화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제 수행 기간은 2025년 7월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최대 127.5억 원의 정부 연구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책임연구자인 정세영 교수(가정의학과·정보화실장)를 중심으로 노인병내과, 재활의학과 등 임상 전문 연구진을 구성했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분당차병원 등 주요 의료기관과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간호대학·약학대학, 연세대학교 예방의학과가 참여하는 다학제 컨소시엄을 통해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 헬스케어·AI 전문기업인 차헬스케어, 원스글로벌, 알에스리햅, 더존비즈온, 엑소시스템즈 등이 참여해 서비스 개발과 사업화에도 힘을 더한다.

 

개발된 서비스는 지역사회 내 1·2·3차 의료기관과 돌봄 현장에서 실증 연구를 거쳐, 전국 단위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국가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에 노쇠 평가 표준 규격을 반영하고, 지역사회 통합돌봄 및 국가 보건정책과 연계함으로써 제도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연구책임자인 정세영 교수는 “이번 과제는 의료에 AI를 접목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려는 현 정부 정책과도 부합한다”며 “분당서울대병원이 제공하는 양질의 노인 평가 및 관리 서비스를 AI를 통해 전 국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의료와 돌봄을 연계하고 노인건강관리 플랫폼을 제공해 지역 및 국가 단위의 모니터링 체계는 물론, 혁신적인 노쇠 예방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과제는 국내 최초로 추진되는 노쇠 예방용 AI(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연구로, 초고령사회가 직면한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적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예방 중심 복지·돌봄 체계 구축과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모델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경기신문 = 이양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