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안전 장치 부재 드러난 전산망 화재…ESS 확대 정책, 그대로 가나

'정보 시스템 이중화 장치' 없어 복구 늦어
정부, 화재 위험 높은 ESS 설치 확대 기조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가운데, 정보 시스템 이중화 장치가 없어 피해가 커졌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중화 장치와 대체 장비가 있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ESS 설치 확대를 유지하는 것은 같은 위험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발생한 화재로 대전 본원 전산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정부24 등 국민 대상 서비스와 공무원 업무망이 동시에 마비되면서 민원 지연과 행정 업무 차질이 이어졌다.

 

전산망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냉각 장치 등 모든 구성 요소를 이중화해 한쪽이 마비되더라도 즉시 복구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서는 예산 부족으로 관련 장비 여유분이 확보되지 않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센터 간 백업체계는 있지만 데이터를 돌릴 장비가 없다"며 "예산이 빠듯했다"고 밝혔다.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백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사고 즉시 작동하는 핫 스탠바이 체계가 필요하며, 복구 지연은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치명적"이라고 말했다. 엄흥열 순천향대 명예교수 역시 "대전, 광주, 대구 분원에 이중·삼중 시스템이 있었다면 복구 속도는 훨씬 빨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정부가 유사한 위험 요인을 안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확대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ESS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활용해 전력을 저장하며, 열폭주 시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올해 6월까지 ESS 화재는 55건 발생했으며, 배터리 화재는 ▲2020년 292건 ▲2021년 319건 ▲2022년 345건 ▲2023년 359건 ▲2024년 상반기 296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29년까지 2.22GW, 2038년까지 23GW 규모의 장주기 ESS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화재 방지, 냉각, 자동 차단 장치 등 안전 설비를 갖추지 않고 용량만 늘리면 같은 위험을 키우는 셈”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다음 달 1일 통계청이 국가데이터처로 승격되면서 국가 빅데이터 관리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에, 복구 체계 이중화와 안전 설비 확충 등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대전경찰청은 국정자원센터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국과수·소방당국과 합동 감식을 진행하고 있으며,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여부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