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아시아인 무릎에 더 적합한 전방십자인대 수술법 확인

29명 환자 비교 분석, 이식 힘줄 직경·무릎 기능 점수 모두 우수
무릎 전방 이완 폭 1.6mm, 4가닥 이식 2.5mm보다 안정적

 

가을철 야외 스포츠 활동이 늘면서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에서 가장 흔히 손상되는 인대 중 하나로 농구·축구·스키 등 격렬한 운동에서 잘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매년 4만 명 이상이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치료를 받고 있다.

 

전방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되면 수술이 필요하다. 현재 표준치료는 경골과 대퇴골에 터널을 뚫은 뒤 허벅지 뒤쪽의 햄스트링 힘줄 4가닥을 이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아시아인의 경우 햄스트링 힘줄 직경이 짧은 경우가 많아 이식된 힘줄이 가늘어지고 무릎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정형외과 서영진 교수 연구팀은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에게 최소침습 방식으로 6가닥 힘줄을 이식하는 수술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 4가닥 이식법보다 무릎 기능과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2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4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73명과 2022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6가닥 힘줄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평균 2년 이상 추적관찰했다.

 

성별·연령·체질량지수·반월상연골 손상 여부 등 특성이 유사한 환자들을 짝지어 비교했으며 최종 분석에는 29건이 포함됐다.

 

그 결과 6가닥 이식 그룹은 이식된 힘줄 직경이 평균 9.5㎜로, 기존 4가닥 그룹의 7.8㎜보다 두껍게 유지됐다.

 

무릎 기능 점수도 차이가 뚜렷했다. Lysholm 지수는 82.2점으로 4가닥 그룹 75.6점보다 높았고, WOMAC 지수는 8점으로 12.9점보다 낮아 기능이 더 우수했다. 무릎 불안정성 평가에서도 6가닥 그룹은 전방 이완 폭이 1.6㎜로 4가닥 그룹의 2.5㎜보다 안정적이었다.

 

서영진 교수는 “6가닥 힘줄 이식법은 기존 수술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무릎 기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아시아인 환자들처럼 기존 방식에서 충분한 직경을 얻기 어려운 경우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약 90%는 충돌사고가 아니라 갑작스러운 정지, 무릎 뒤틀림, 잘못된 착지 동작에서 발생한다”며 “손상 직후 무릎에 심한 통증과 부종, 불안정성이 동반되면 반드시 전문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Impact Factor 2.9) 8월호에 게재됐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