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 도시미래위원회가 수원시 AI스마트정책국 소관부서(AI전략과, 디지털정책과, 스마트도시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
26일 시의회 도시미래위원회 소속 권기호 의원(국힘, 비례)은 시 누리집이 시민과 행정을 잇는 핵심 창구인 만큼 방문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콘텐츠 품질을 강화하고 내실 있게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은 의원(민주, 정자1·2·3)은 "행정혁신의 핵심은 이제 'AI 기반 혁신'이며 AI스마트정책국이 시 전반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 민원상담이나 공무원 업무 효율화 수준을 넘어 조직 운영, 인력 배치, 정책 수립 전 과정에 AI를 체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며 "취약계층과 노인층도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음성 기반 행정 서비스 등 '포용적 AI 행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재광 의원(국힘, 율천·서둔·구운·입북)은 시 누리집에 AI 서비스를 도입할 의향과 향후 추진 계획을 질의하며 시민 체감형 행정 강화를 위해 AI 챗봇 도입을 강조했다.
유 의원은 "북한발 사이버공격과 국내외 해킹그룹의 랜섬웨어로 공공·민간기관이 마비되는 사례가 급증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시의 보안 대응이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조미옥 의원(민주, 평·금곡·호매실)은 "데이터 기반 행정이 시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더 강화돼야 한다"며 "현재 시는 데이터를 가공·시각화해 시민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이를 더 폭넓게 반영해 행정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년·장애인·외국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다"며 "새롭게 출범한 AI스마트정책국이 디지털 기본사회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기반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찬용 위원장(국힘, 권선2·곡선)은 AI스마트정책국 산하 AI전략과·디지털정책과·스마트도시과의 사무공간이 분리돼 협업과 업무 효율에 불편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AI 기반 행정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 부서가 한 공간에서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며 "통합 사무공간 마련을 위한 예산 확보에 적극 나서달라"고 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