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고양 지축, 남양주 별내 등 2개 지구 1천30가구에 대해 협동조합형 뉴스테이 민간사업자를 공모한다고 6일 밝혔다. 협동조합형 공모 사업은 일반 공모형 뉴스테이와 사업 방식은 유사하나, 입주민 중심의 협동조합이 참여해 자치방식의 단지관리, 공동육아 등 소셜비즈니스를 활성화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공익성을 확보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이번에 사업자를 모집하는 고양 지축지구 B-7블록은 전용면적 60∼85㎡ 539가구가 건설되며, 입지상 토지가격이 비싼 점을 감안해 주택도시기금과 LH가 출자·설립한 토지지원리츠가 땅을 매입한 뒤 뉴스테이 임대리츠에 임대하는 ‘토지임대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남양주 별내 A1-5블록에는 전용 60∼85㎡ 491가구가 건설되고 협동조합 등 민간 사업주체가 직접 토지를 매입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LH는 협동조합 뉴스테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 출자비율을 30%에서 20%로 완화했다. 또 사업신청 시 주택협동조합이 아닌 기존 사회적협동조합 등이 사업신청과 출자를 할 수 있도록 하되, 입주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주택협동조합을 설립해 민간 출자금과 기금 지분을 인수하도록 했다. LH는 오는 29일까지 민간사업자
알뜰폰 업체들이 이동통신사의 반값에 불과하거나 기본료 0원에 일정량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격적인 데이터 요금제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헬로비전의 알뜰폰 브랜드 헬로모바일은 지난 2일 요금이 기존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대용량 데이터 요금제를 한시적으로 내놓았다. 이달 말까지 가입이 가능한 ‘더착한데이터 유심 10GB’는 월 3만3천원에 음성 통화와 문자를 무제한으로 제공하고, 데이터 10GB를 준다. 데이터를 다 쓰더라도 하루 2GB를 제한된 속도(3Mbps)로 추가로 제공한다. 기존 이동통신사의 유사한 데이터 요금제와 비교하면 가격은 ‘반값’ 수준인데다 무약정 상품으로 언제든 위약금 없이 해지가 가능하다. 지난달 출시된 이지모바일의 ‘EG LTE 297’도 월 2만9천700원에 데이터 6GB를 제공한다. 기존 이동통신사의 요금보다 20% 이상 저렴한 수준이다. 인스코비의 ‘우정 LTE 57’ 요금제는 2만1천890원에 음성 통화 100분, 데이터 7GB를 제공한다. 기본료가 없는 데이터 요금제도 출시를 기다리고 있다. 에넥스텔레콤은 2년 약정 시 기본료 없이 무료 데이터 100MB를 제공하는 요금제를 이달 중 출시한다. 앞서 에넥스
‘11·3 부동산 대책’ 거센 후폭풍 서울을 포함한 37개 지역을 조정지역으로 선정해 청약 규제를 강화한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 대상에 속하지 않은 지역이나 3일 이전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분양 단지는 청약 예정자들이 대거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반면 규제 대상 지역은 분양일정이 연기되는 등 명암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6일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분양시장 열기가 식어 미분양 우려가 많았던 용인은 11·3 부동산 대책의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청약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실제 지난 4일 대우건설이 문을 연 ‘용인 수지 파크 푸르지오’의 견본주택에는 6일까지 사흘간 약 2만5천명의 방문객(6일 추정치 포함)이 다녀가며 북새통을 이뤘다. 청약 조정지역에 포함됐지만 3일 이전에 입주자모집공고를 받아 분양권 전매가 자유로운 아파트에는 막차수요가 대거 몰리며 청약과열이 빚어졌다. 지난 3일 청약을 받은 세종시의 ‘캐슬앤파밀리에 디아트 세종’은 445가구 모집에 무려 11만706명이 몰렸는가 하면, 역시 같은 날 1순위 청약을 받은 화성 동탄2신도시 ‘우미 린스트라우스 더레이크’ 아파트도 834가구에도 6만5천943명이 접수해 최근 동탄2
농촌진흥청은 부화장에서 병아리가 되지 않아 버리게 되는 달걀을 미생물로 발효해 천연비료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천연비료는 김치에서 분리한 효모와 닭 분변에서 분리한 세균 등 단백질 분해 능력이 뛰어난 미생물 3종을 선발하고, 이 미생물의 배양액을 부화가 멈춘 달걀에 넣은 뒤 실온에서 발효해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걀을 실온에 두면 썩으면서 황화수소계열의 악취가스가 나오는데, 이 미생물 배양액을 넣으면 악취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천연비료를 방울토마토에 250배 농도로 처리한 결과, 수확량은 23%, 당도는 1브릭스 늘었다. 또 딸기도 수확량이 20% 증가했다. 농진청은 이번에 선발한 미생물과 이를 이용해 만든 달걀 발효 천연비료 제조기술을 특허 출원하고,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유재홍 농진청 농업미생물과 농업연구사는 “이번에 개발한 천연비료가 실용화되면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줄이면서 안전 농산물 생산, 부화장의 부산물 처리 비용 절감, 악취 및 환경오염 문제 해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미래에셋대우(옛 대우증권)와 미래에셋증권이 합병을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 6일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두 회사는 지난 4일 오전 각각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참석 주주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합병안을 승인했다. 합병비율은 피합병회사인 미래에셋증권 보통주(액면가 5천원) 1주당 미래에셋대우 보통주(액면가 5000원) 2.97주를 교부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대우가 미래에셋증권을 흡수합병해 미래에셋대우는 존속하고 미래에셋증권은 해산한다. 이날 임시주총에서는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수석부회장, 김국용 미래에셋대우 부사장을 등기이사로 선임하고 사외이사 5명을 선임하는 안건도 의결했다. 등기이사로 추천된 조웅기 미래에셋증권 사장과 마득락 미래에셋대우 부사장은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가 된다. 이날 합병안이 주총을 통과함에 따라 7~17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을 거쳐 12월 30일 합병등기를 끝으로 내년 1월 20일 신주가 상장될 예정이다. 합병 신주 상장으로 미래에셋증권 주식은 12월 21일부터 2017년 1월 19일까지 거래가 정지된다. 일정대로 합병절차가 진행되면 다음달 29일 자기자본 6조7천억원(단순 합산시 7조8천억원) 규모의 국내 1위
코스피가 3일 대내외에 산재한 악재를 딛고 닷새 만에 소폭이지만 반등에 성공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4.86포인트(0.25%) 오른 1,983.80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4.01포인트(0.20%) 내린 1,974.93으로 개장한 뒤 외국인의 ‘팔자’와 기관의 ‘사자’가 힘겨루기를 하며 1,970선과 1,980선을 오가다가 기관 쪽에서 매수 강도를 높이면서 1,980선에 안착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금융투자(2천338억원)와 연기금(555억원)을 중심으로 기관은 3천43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천398억원어치, 2천1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삼성전자(-1.64%), 현대차(-2.15%), 삼성물산(-1.30%), NAVER(-1.69%) 등은 약세를 보였지만 삼성생명(0.46%), 아모레퍼시픽(2.00%), 포스코(1.28%) 등은 올랐다.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으로 최근 급락한 CJ그룹주에 대한 저가매수세가 두드러졌다. CJ가 3.36% 오른 가운데 CJ CGV(1.83%), CJ제일제당(6.94%), CJ씨푸드(1.42%) 등이 줄줄이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93포인트(0.65%) 오른 609.99에 장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 대상에 포함된 지역과 제외된 지역의 주택시장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번 대책으로 전매제한 기간 강화, 재당첨 제한, 1순위 제한 등 청약규제가 강화되면서 서울·과천·하남·성남·부산·세종 등 ‘조정지역’ 37곳내 청약시장은 당분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 강남4구와 과천은 소유권이전등기 시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돼 사실상 전매시장이 완전히 사라짐에 따라 고분양가 행진에 제동이 걸리고 청약경쟁률도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3일 이후 입주자모집공고를 하고 분양에 들어가는 조정지역내 분양물량은 최단 1년6개월부터 최장 입주시점까지 분양권 전매가 제한되고, 15일 이후부터는 재당첨과 1순위 자격 등도 제한되기 때문에 타격을 피할 수 없다. 조정지역 37곳에서 이날부터 연말까지 분양에 들어갈 아파트(임대아파트 제외)의 일반분양분은 총 8만3천317가구로, 이 중 조정지역에서 분양하는 일반분양 아파트는 1만6천233가구에 이른다. 도내의 경우, 성남 위례신도시나 하남 미사강변지구와 달리 공급물량이 많이 남은 하남 감일·감북지구와 남양주 다산신도시, 고양 향동·삼송지구, 화성 동탄2신도시
부동산 투기과열의 진원지로 꼽혔던 강남4구와 과천 민간택지 주택은 앞으로 분양 후 입주 때까지 전매가 금지된다. 이 외에 서울 전역과 성남은 전매제한 기간이 6개월에서 1년6개월로 늘어난다. 또 서울과 경기·부산 일부, 세종에서 세대주가 아니거나 5년 내 주택당첨자, 2주택 이상 소유자는 청약 1순위 자격이 없어지고, 이 지역에서 당첨된 자는 재당첨이 제한된다. 국토교통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실수요 중심의 시장형성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서울을 비롯한 37개 자치단체를 ‘청약 조정대상지역’(조정지역)으로 지정하고 청약 규제를 강화한다. 서울은 25개 구 전역의 공공·민간택지, 경기도는 과천·성남의 공공·민간택지와 하남·고양·남양주·화성(동탄2신도시에 한함)의 공공택지, 지방은 부산 해운대·연제·동래·남구·수영의 민간택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예정지인 세종시는 공공택지가 각각 조정지역에 포함됐다. 이 중 서울 강남·송파·서초·강동구 등 강남4구와 과천은 분양권 전매를 ‘소유권이전등기 시(입주시점)’까지 금지키로 했다. 강남4구를 제외한 서울 21개구와 성남·하남·고양·남양주·화성
안전보건공단 경기지사는 지사 소속 안전韓(한)동행 사회봉사단이 2일 용인 기흥구 보라중학교에서 1학년생 60여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진로체험 재능나눔활동’을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안전韓(한)동행 사회봉사단은 공단의 업무 소개와 함께 산업안전보건의 중요성을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탐색에 대한 성찰, 올바른 직업관 형성 등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또 청소년들에게 안전보건의 중요성을 조기에 인식시키기 위해 산업재해 현황 및 산업재해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공유했다. 송재준 경기지사장은 “앞으로도 안전韓(한)동행 사회봉사단을 통해 학생 등 예비산업인력을 대상으로 안전보건문화 확산에 힘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코스피가 2일 미국 대선 불확실성 및 최순실 파문으로 인한 국정 혼란 속에서 1,970선까지 주저앉았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8.45포인트(1.42%) 내린 1,978.94에 장을 마쳐 종가 기준으로 지난 7월8일(1,963.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수는 11.98포인트(0.60%) 내린 1,995.41로 개장한 뒤 차례로 1,990선과 1,980선을 내줬고, 장중 1,976.34까지 밀리기도 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대된 모습이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통화정책과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고 있고 대내적으로 최순실 파문으로 인한 국정 혼란에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천296억원어치, 224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를 압박했다. 기관은 1천477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삼성전자(-0.54%), 한국전력(-0.91%), 현대차(-1.41%), SK하이닉스(-2.38%), 삼성물산(-1.91%) 등 시가총액 상위주 대부분이 줄줄이 하락했다. 밸류에이션(기업 가치 대비 주가)이 높은 코스닥시장의 조정은 더 거칠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0.32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