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다수의 부모들이 그러하듯 나 역시 젊을 때는 살 집을 아이들이 다닐 학교의 학군이 좋거나 혹은 학원이 밀집해있는 곳을 우선으로 고려해 선택했었다. 그래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전세살이를 하며 지내왔다. 이러한 지나간 시간에 대한 아쉬움인지는 몰라도 나이가 들어가면서는 내가 원하는 집에서 살아보고 싶은 생각이 간절해진다. 이제는 평소 꿈꾸던 형태의 집을 장만하거나 혹은 스스로 집을 지어보려는 마음이 꿀떡 같고, 특히 전원주택 생활에 대한 커다란 환상과 동경에 빠져들게 된다. 전원주택의 위치는 물론 도심을 벗어난 한적한 곳이 좋을 것 같다. 강이 내려다보이거나 숲속 풍경을 볼 수 있으면 더욱 좋을 것이다. 그리고 강이나 숲 쪽으로 창을 내고 싶다. 창문을 통유리로 한다면 한눈에 풍광이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천장도 언제든지 열어젖힐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하거나, 여의치 않으면 투명한 통유리로 만들고 싶다. 그러면 별을 보며 잠자리에 들 수 있을 것 같다. 또 날씨가 따뜻해지면 맑은 공기를 방안에 가득 채울 수 있게 천장을 활짝 열어젖힐 것이다. 집 구조는 2층으로 하고 방은 서너 개 정도 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층에는 출가한 아이들이 가끔 찾아
나는 경기도 용인시 수지 지역에 살고 있다. 내가 이곳에서 산지도 벌써 20년이 넘어선다. 그러고 보니 지나온 삶의 약 1/3을 보낸 셈이다. 용인은 도시와 농촌이 병존하는 도농복합공간으로, 주거 인구수가 100만 명에 달해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과 비슷하다. 용인시의 한 행정구역인 수지는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주거지역으로, 직장생활을 마친 노년층이 다수 살고 있다. 나 역시 그중의 한사람이다. 용인 사람들은 서울시민의 기준에서는 시골살이를 하고 있다. 그러기에 감수해야만 하는 다소의 불편함과 애로가 없지 않다. 무엇보다 경조사 참석과 지인들과의 만남을 위해 서울 나들이를 할 때 겪게 되는 교통난이다. 즉 교통체증으로 답답함을 느끼거나 대중교통 환승에 따른 불편함과 시간 소비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 서울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재산증식이 되지 않는 것도 이따금 나타나는 가슴앓이의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내가 이곳에 살면서 느끼는 행복감은 이런 불편함과 고충을 훨씬 뛰어넘는다. 우선 숲이 많아 공기가 상대적이지만 맑고 깨끗한 편이다. 여기서는 겨울을 제외하고는 사시사철 창문을 열어놓고 살 수 있다. 한여름에도 창문만 열어놓으면 그나마 청량한 바람을 느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