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프로야구가 출범 42년 만에 처음으로 한 시즌 관중 900만명을 돌파했다. 꿈의 숫자인 1000만 관중 시대도 현실로 다가왔다. KBO는 지난 28일 서울 잠실구장을 비롯해 전국 5개 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에 6만 9559명의 관중이 입장해 올 시즌 누적 관중 900만 904명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KBO에 따르면 이날 kt 위즈와 LG 트윈스의 경기가 열린 잠실구장에는 1만 3848명의 관중이 입장했고 서울 고척스카이돔에 1만 3929명, 부산 사직구장에 2만 2758명,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 1만 3155명, 창원NC파크에 5869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이로써 올해 KBO리그는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처음으로 610경기 만에 관중 900만명 시대를 열었다. 지난 18일 역대 최다 시즌 관중 847만5천664명 신기록을 세운 프로야구는 열흘 만에 900만명을 넘어서 꿈의 1000만 관중 달성에 청신호를 켰다. 이날 경기에서는 LG 트윈스(113만 3851명)와 두산 베어스(111만 9571명), 삼성 라이온즈(113만 1022명)에 이어 KIA 타이거즈(100만 215명)가 시즌 네 번째로 시즌 총관중 100만명을 넘겼다. 또 SSG
2024 KBO리그가 불볕더위를 뚫고 역대 한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KBO 사무국은 지난 18일 전국 5개 구장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에 총 9만 1527명이 입장, 올 시즌 KBO리그 누적 관중이 847만 5664명으로 늘어 역대 최다 관중 신기록을 작성했다고 19일 밝혔다. 총 720경기를 치르는 2024년 정규시즌 일정의 약 80%를 소화(573경기)한 시점에서 올 시즌 KBO리그는 2017년에 기록한 역대 최다 관중 기록 840만 688명을 넘어섰다. 올 시즌 KBO리그는 지난 17일까지 열린 568경기에서 838만 4137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신기록 달성을 예고했고, 18일 새 이정표를 세웠다. 2017년 KBO리그는 720경기 동안 840만 688명을 동원했는데, 올해에는 573경기 만에 종전 최다 기록을 넘어섰다. 18일 현재 경기당 평균 1만 4792명이 입장하는 ‘인기’를 정규리그 막판까지 유지하면, 사상 첫 900만 관중은 물론이고 1000만 관중 돌파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KBO리그는 시작부터 열기가 뜨거웠다. 개막전 5경기에 10만 3841명이 입장하며 전 구장 매진으로 흥행의 시작을 알렸고
2024시즌 프로축구가 누적 관중 수 200만명을 돌파하며 흥행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 21일 하나은행 K리그1 2024 24라운드가 종료되면서 K리그1 누적 관중수가 150만 6529명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23라운드까지 진행되 K리그2의 누적 관중수가 53만 6408명으로 집계되면서 올 시즌 K리그12를 합한 총 관중수가 204만 2937명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2013시즌 승강제 도입 이후 최소 경기 200만 관중 돌파 기록이다. 지난 시즌 324경기(K리그1, 2 각각 162경기)만에 202만 2026명이 입장하며 승강제 도입 이후 역대 최소 경기 200만 관중 돌파 기록을 세웠던 K리그는 올 시즌 282경기(K리그1 144경기, K리그2 138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돌파하며 역대 최소 경기 기록을 한 시즌 만에 갈아치웠다. 한편 이번 시즌 K리그1 24라운드 종료 기준 누적 관중수 150만 6529명은 지난 시즌 동 시점 누적 관중수 146만 9703명에 비해 2.5% 증가한 수치다. 또 K리그2 23라운드 종료 기준 누적 관중수 53만 6408명은 지난 시즌 동 시점 누적관중수 30만 212명에 비해
한국 프로야구가 역대 최초로 전반기 관중 600만 시대를 열까. 한국야구위원회(KBO)는 3일 "2일까지 열린 2024시즌 408경기에서 총 592만9천395명이 입장했다"며 "남은 10경기에서 7만605명의 관중을 모으면 역대 처음으로 전반기 관중 600만명을 기록한다"고 전했다. 현재 추세라면 역대 최소 경기 600만 관중 기록(419경기)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역대 600만 관중 최소 경기수는 지난 2012년 419경기이며 10개 구단 체제 이후에는 2016년 8월 11일 509경기가 최소 경기수였다. 2016년 당시 최종 관중 수는 833만 9577명이었다. 올 시즌 프로야구는 10개 구단 전력 평준화로 순위싸움이 어느 떄보다 치열해진 것은 물론 코로나19 종식으로 대외활동이 활발해지는 등 각종 호재 속에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미극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다 한화 이글스로 복귀한 류현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한 경기 평균 관중은 1만4천533명으로 지난 시즌 홈 동일 경기 수 대비 32%가 증가했다. 구단별 홈 총 관중수는 두산 베어스가 78만 1027명으로 가장 많고 LG 트윈스(72만 5538명)와 KIA 타이거즈(69만 2744명),
2024 프로야구가 역대 두번째로 빠른 속도로 400만 관중을 돌파했다. KBO는 지난 1일 전국 5개 구장에서 10만 1470명의 관중이 입장해 시즌 총 관중 409만 6149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285경기 만에 400만 관중을 돌파한 올 KBO리그는 역대 두 번째 빠른 페이스로 흥행몰이를 이어갔다. 역대 최소경기 400만 관중은 8개 구단 체제였던 2012년으로 255경기 만에 달성했었다. 10개 구단 체제로 바뀐 이후에는 가장 빠른 추세다. 10개 구단 체제인 지난 2018년 328경기 만에 400만 관중을 돌파해 올해 43경기나 앞당겨 400만 관중을 넘었다. 이날 KBO리그는 고척돔을 제외한 잠실구장과 부산 사직구장,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 경기가 매진됐다. 올 시즌 매진 경기는 한화 이글스가 21차례나 달성하는 등 총 81번으로 늘었다. 지난 시즌 대비 총관중이 30%나 증가한 올 프로야구는 최초로 900만명 돌파가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지난 시즌 프로축구 K리그1에서 강등의 쓴 맛을 본 수원 삼성이 올 시즌 K리그2 흥행을 이끌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올 시즌 프로축구 K리그2 8라운드까지 평균 관중이 전년 동기 대비 86.7% 증가한 걸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프로축구 2부 흥행’의 중심에는 강등된 수원이 있다. 하나은행 K리그2 2024 8라운드까지 경기 당 관중은 4682명으로 지난 시즌 8라운드까지 평균 관중(2508명)을 훌쩍 넘어섰다. 1년 사이 86.7%의 가파른 증가 폭을 보인 것이다. K리그1도 올 시즌 8라운드까지 평균 1만 2018명의 관중을 끌어모아 전년 동기(1만 1305명) 대비 6.3% 올랐다. 프로축구 인기가 전반적으로 올라간 가운데 K리그2가 특히 흥행하고 있으며 K리그2 흥행을 이끄는 팀은 단연 수원이다. 수원은 올 시즌 8라운드까지 8경기를 치르면서 홈, 원정을 불문하고 평균 1만 명이 넘는 관중(1만 376명)을 끌어모았다. 관중 수가 8000명 밑으로 떨어진 경기는 한 번도 없었다. 지난 달 3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수원의 사상 첫 K리그2 경기인 충남아산과 개막전에 1만 4196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이는 유료 관중 집계 후 K
2022~2023시즌 프로배구 남녀부 관중 동원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배구연맹(KOVO)이 13일 지난 시즌 시청률·관중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2019시즌과 비교해 남자부 관중 수는 크게 줄은 반면 여자부 관중 수는 40% 가까이 늘어났다. 남자부 관중은 2018~2019시즌 32만4천682명에서 2022~2023시즌 21만4천178명으로 34%나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여자부 관중은 25만1천64명에서 34만7천267명으로 38%나 증가했다. 남자부 평균 관중 수는 1천610명, 여자부는 2천611명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배구여제’ 김연경의 영향 덕분이다. 배구연맹의 최근 5년 치 관중 자료를 보면, 여자부 관중 수는 남자부 관중 수를 밑돌다가 김연경이 국외 생활을 마치고 복귀한 2020~2021시즌부터 역전했다. 여자배구대표팀의 도쿄올림픽 4강 진출의 후광이 프로배구에도 영향을 끼쳐 김연경이 잠시 국외로 떠난 2021~2022시즌에도 여자부 관중 수가 남자부보다 5만7천명 이상 많았고, 김연경이 완전히 귀국한 이번 시즌에는 여자부 관중 수가 무려 13만명 이상 남자부를 웃돌았다. 이처럼 여자배구의 인기가 높은 것은 남자
“시합 2주전부터 매일 새벽에 나오셔서 자세를 봐주신 김주원 코치님께 감사드립니다.” 29일 경북 안동시 낙동강 일원에서 열린 제51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카누 남자 16세 이하부 카누 2인승(C-2) 500m 결승에서 2분06초573의 기록으로 우승한 한태빈-김관중 조(양평중)의 소감이다. 양평중 카누팀을 지도한 김주원 코치는 “선수들이 열심히 한 만큼 성과가 있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강원 팀이 최대 라이벌이었다. 싱글종목인 C-1 500m에서 우승한 김지우(강원 근덕중)를 따라잡기 위해 노력한 것이 주효했다”고 전했다 김관중은 우승 소감에 대해 “한 달 전부터 열심히 준비해왔다. 코치님, 교장선생님 등 많은 분들이 지원해주셔서 전보다 더 훈련에 집중할 수 있었다”면서 “특히 코치님이 시합 2주전부터 매일 새벽에 나오셔서 자세를 봐주셨다. 덕분에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감사하다”고 전했다. 한태빈은 같은 날 열린 C-1 500m에서 2위(2분12초062)에 그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한태빈은 “싱글에서 김지우를 따라잡으려고 한 달 동안 열심히 했는데 결과가 아쉽다”면서도 “오늘 긴장하긴 했지만, 그전부터 (김)관중이와 맞춰본 호흡이 있어서 레이스
kt 위즈가 어린이날 홈 팬들에게 화끈한 승리를 선사하며 주중 3연전을 위닝 시리즈로 장식했다. kt는 5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와 시즌 6차전에서 거포 박병호의 만루홈런 등 11안타를 뽑아낸 타선의 집중력과 선발 엄상백의 호투에 힘입어 8-2로 승리했다. 전날 0-5 패배를 설욕한 kt는 롯데와 주중 3연전을 2승 1패 위닝시리즈로 마감하며 13승 15패를 기록, 리그 6위를 유지했다. kt는 1회부터 타선이 폭발하며 일찌감치 승기를 잡았다. 1회말 선두타자 조용호의 좌익선상 2루타와 김민혁의 기습 번트 안타, 황재균의 볼넷으로 무사 만루 기회를 잡은 kt는 4번 타자 박병호가 롯데 선발 글렌 스파크맨의 시속 138㎞ 짜리 초구 슬라이더를 받아쳐 우측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05m의 그랜드슬램을 쏘아올려 4-0으로 앞서갔다. 박병호의 개인통산 7번째 만루홈런이자 시즌 7호 홈런이다. 박병호는 이 홈런으로 롯데 한동희와 홈런부문 공동 1위에 올랐다. kt는 계속된 공격에서 장성우의 좌중간 2루타와 오윤석의 좌전안타, 배정대의 볼넷으로 다시한번 무사 만루 기회를 잡았고 김병희의 몸에 맞는 볼로 1점을
코로나19로 잠들어 있던 프로스포츠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지난 22일부터 야구장과 축구장 등 모든 실외구장에서 차례로 육성 응원이 재개됐다. 마스크만 착용한다면 육성 응원은 물론 관중 100% 입장, 각종 대면 이벤트, 대표음식인 치맥(치킨+맥주) 허용 등 장내 취식까지 모두 가능하다. 경기장 외적인 조건은 이제 예전처럼 돌아왔다. 문제는 그 안을 채워줄 팬들의 관심 여부다. 과연 끊겼던 팬들의 발길이 경기장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프로야구는 2012년 처음으로 700만(715만 6157명) 관중을 넘겼고, 2016년에는 800만(833만 9577명)을 돌파했다. 이듬해인 2017년에는 역대 최다관중(840만 688명)을 기록하며 흥행 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8년 807만 3742명, 2019년 728만 6008명을 기록했다. 여기에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최근 2년 동안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대부분 입장제한과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면서 2020년 32만 8317명, 2021년 122만8489명으로 줄어들었다. 위기를 느낀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 달 25일 제24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