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프로야구가 출범 42년 만에 처음으로 한 시즌 관중 900만명을 돌파했다. 꿈의 숫자인 1000만 관중 시대도 현실로 다가왔다. KBO는 지난 28일 서울 잠실구장을 비롯해 전국 5개 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에 6만 9559명의 관중이 입장해 올 시즌 누적 관중 900만 904명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KBO에 따르면 이날 kt 위즈와 LG 트윈스의 경기가 열린 잠실구장에는 1만 3848명의 관중이 입장했고 서울 고척스카이돔에 1만 3929명, 부산 사직구장에 2만 2758명, 광주 기아챔피언스필드에 1만 3155명, 창원NC파크에 5869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이로써 올해 KBO리그는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처음으로 610경기 만에 관중 900만명 시대를 열었다. 지난 18일 역대 최다 시즌 관중 847만5천664명 신기록을 세운 프로야구는 열흘 만에 900만명을 넘어서 꿈의 1000만 관중 달성에 청신호를 켰다. 이날 경기에서는 LG 트윈스(113만 3851명)와 두산 베어스(111만 9571명), 삼성 라이온즈(113만 1022명)에 이어 KIA 타이거즈(100만 215명)가 시즌 네 번째로 시즌 총관중 100만명을 넘겼다. 또 SSG
 
								
				2024시즌 프로축구가 누적 관중 수 200만명을 돌파하며 흥행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 21일 하나은행 K리그1 2024 24라운드가 종료되면서 K리그1 누적 관중수가 150만 6529명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23라운드까지 진행되 K리그2의 누적 관중수가 53만 6408명으로 집계되면서 올 시즌 K리그12를 합한 총 관중수가 204만 2937명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2013시즌 승강제 도입 이후 최소 경기 200만 관중 돌파 기록이다. 지난 시즌 324경기(K리그1, 2 각각 162경기)만에 202만 2026명이 입장하며 승강제 도입 이후 역대 최소 경기 200만 관중 돌파 기록을 세웠던 K리그는 올 시즌 282경기(K리그1 144경기, K리그2 138경기) 만에 200만 관중을 돌파하며 역대 최소 경기 기록을 한 시즌 만에 갈아치웠다. 한편 이번 시즌 K리그1 24라운드 종료 기준 누적 관중수 150만 6529명은 지난 시즌 동 시점 누적 관중수 146만 9703명에 비해 2.5% 증가한 수치다. 또 K리그2 23라운드 종료 기준 누적 관중수 53만 6408명은 지난 시즌 동 시점 누적관중수 30만 212명에 비해
 
								
				한국 프로야구가 역대 최초로 전반기 관중 600만 시대를 열까. 한국야구위원회(KBO)는 3일 "2일까지 열린 2024시즌 408경기에서 총 592만9천395명이 입장했다"며 "남은 10경기에서 7만605명의 관중을 모으면 역대 처음으로 전반기 관중 600만명을 기록한다"고 전했다. 현재 추세라면 역대 최소 경기 600만 관중 기록(419경기)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역대 600만 관중 최소 경기수는 지난 2012년 419경기이며 10개 구단 체제 이후에는 2016년 8월 11일 509경기가 최소 경기수였다. 2016년 당시 최종 관중 수는 833만 9577명이었다. 올 시즌 프로야구는 10개 구단 전력 평준화로 순위싸움이 어느 떄보다 치열해진 것은 물론 코로나19 종식으로 대외활동이 활발해지는 등 각종 호재 속에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미극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다 한화 이글스로 복귀한 류현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한 경기 평균 관중은 1만4천533명으로 지난 시즌 홈 동일 경기 수 대비 32%가 증가했다. 구단별 홈 총 관중수는 두산 베어스가 78만 1027명으로 가장 많고 LG 트윈스(72만 5538명)와 KIA 타이거즈(69만 2744명),
 
								
				지난 시즌 프로축구 K리그1에서 강등의 쓴 맛을 본 수원 삼성이 올 시즌 K리그2 흥행을 이끌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올 시즌 프로축구 K리그2 8라운드까지 평균 관중이 전년 동기 대비 86.7% 증가한 걸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프로축구 2부 흥행’의 중심에는 강등된 수원이 있다. 하나은행 K리그2 2024 8라운드까지 경기 당 관중은 4682명으로 지난 시즌 8라운드까지 평균 관중(2508명)을 훌쩍 넘어섰다. 1년 사이 86.7%의 가파른 증가 폭을 보인 것이다. K리그1도 올 시즌 8라운드까지 평균 1만 2018명의 관중을 끌어모아 전년 동기(1만 1305명) 대비 6.3% 올랐다. 프로축구 인기가 전반적으로 올라간 가운데 K리그2가 특히 흥행하고 있으며 K리그2 흥행을 이끄는 팀은 단연 수원이다. 수원은 올 시즌 8라운드까지 8경기를 치르면서 홈, 원정을 불문하고 평균 1만 명이 넘는 관중(1만 376명)을 끌어모았다. 관중 수가 8000명 밑으로 떨어진 경기는 한 번도 없었다. 지난 달 3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수원의 사상 첫 K리그2 경기인 충남아산과 개막전에 1만 4196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이는 유료 관중 집계 후 K
 
								
				2022~2023시즌 프로배구 남녀부 관중 동원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배구연맹(KOVO)이 13일 지난 시즌 시청률·관중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2019시즌과 비교해 남자부 관중 수는 크게 줄은 반면 여자부 관중 수는 40% 가까이 늘어났다. 남자부 관중은 2018~2019시즌 32만4천682명에서 2022~2023시즌 21만4천178명으로 34%나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여자부 관중은 25만1천64명에서 34만7천267명으로 38%나 증가했다. 남자부 평균 관중 수는 1천610명, 여자부는 2천611명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배구여제’ 김연경의 영향 덕분이다. 배구연맹의 최근 5년 치 관중 자료를 보면, 여자부 관중 수는 남자부 관중 수를 밑돌다가 김연경이 국외 생활을 마치고 복귀한 2020~2021시즌부터 역전했다. 여자배구대표팀의 도쿄올림픽 4강 진출의 후광이 프로배구에도 영향을 끼쳐 김연경이 잠시 국외로 떠난 2021~2022시즌에도 여자부 관중 수가 남자부보다 5만7천명 이상 많았고, 김연경이 완전히 귀국한 이번 시즌에는 여자부 관중 수가 무려 13만명 이상 남자부를 웃돌았다. 이처럼 여자배구의 인기가 높은 것은 남자
 
								
				코로나19로 잠들어 있던 프로스포츠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지난 22일부터 야구장과 축구장 등 모든 실외구장에서 차례로 육성 응원이 재개됐다. 마스크만 착용한다면 육성 응원은 물론 관중 100% 입장, 각종 대면 이벤트, 대표음식인 치맥(치킨+맥주) 허용 등 장내 취식까지 모두 가능하다. 경기장 외적인 조건은 이제 예전처럼 돌아왔다. 문제는 그 안을 채워줄 팬들의 관심 여부다. 과연 끊겼던 팬들의 발길이 경기장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프로야구는 2012년 처음으로 700만(715만 6157명) 관중을 넘겼고, 2016년에는 800만(833만 9577명)을 돌파했다. 이듬해인 2017년에는 역대 최다관중(840만 688명)을 기록하며 흥행 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8년 807만 3742명, 2019년 728만 6008명을 기록했다. 여기에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최근 2년 동안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대부분 입장제한과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면서 2020년 32만 8317명, 2021년 122만8489명으로 줄어들었다. 위기를 느낀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 달 25일 제24대
 
								
				프로축구단 성남FC가 관중 입장 비율 확대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로 팬들을 맞이한다. 성남은 관중 확대와 발맞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KF94 마스크를 선착순 1000명에게 배포할 뿐만 아니라 육성 응원을 대체할 응원 풍선도 지급한다. 성남은 지난 5월 29일 수원FC전을 시작으로 6월 6일 전북전, 6월 26일 강원전을 모두 직관한 팬들을 대상으로 ‘스티커랠리’ 출석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이벤트 마지막 경기에서 마상훈 스티커를 받아 랠리판을 최종 완성한 후 각 게이트에 마련된 부스에 경품 응모해 당첨되면, ‘축구 일러스트 작가’ 유르이프가 디자인에 참여한 티셔츠, 머그컵 등 다양한 제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번 경기에는 ‘DESSERT.39 야탑점’과의 협업을 통해 시즌권자를 대상으로 음료 프로모션도 진행된다. 추가 음료 제공은 강원전 경기 당일 12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진행되며 시즌권을 제시해야만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한편, 성남은 지난 20일 울산과의 경기에서 좋은 경기력을 선보이며 승점 1점을 획득했다. 구단은 오는 강원전 승리로 길었던 무승의 늪에서 탈출한다는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7월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앞서 스포츠 경기장 입장 관중 수가 늘어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는 7월부터 적용될 새로운 거리두기를 준비하기 위해 14일부터 내달 4일까지 스포츠 경기장 관중 입장 규모를 상향한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스포츠 경기 시 1.5단계 지역에서는 전체 좌석의 30%까지, 2단계 지역은 10%까지 관중을 받을 수 있다. 이번 경기장 관중 입장 규모 상향에 따라 향후 3주간 1.5단계 지역은 50%까지, 2단계 지역은 30%까지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고척스카이돔 야구장은 실내 경기장이어서 1.5단계 20%까지로 규모가 제한됐다. 문체부는 백신 접종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범위 내에서 거리두기 지침을 합리적으로 조정한다는 방역당국의 방침 속에 이뤄졌다고 전했다. 그동안 철저한 방역조치에 따라 스포츠 경기장 내 집단 감염이 발생한 적 없고, 이달 말까지 프로축구와 프로야구 정규 대회가 절반가량 진행된다는 점도 추진 배경이 됐다. 현재 대회를 진행하고 있는 프로축구와 프로야구는 구장별 홈경기 일정에 맞춰 입장 인원을 늘릴 계획이다. 이에 문체부와 프로스포츠 연맹은 안전요원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