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김연욱 교수가 세계폐암학회(IASLC)의 다학제위원회(Multidisciplinary Practice Standards Committee) 위원으로 위촉됐다. 임기는 2025년까지다. 세계폐암학회는 폐암 및 흉부 악성 종양에 연구와 교육, 진료지침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학회로, 전 세계 100여개국, 약 8000명의 전문가들이 소속돼있다. 세계폐암학회에서 발표하는 폐암 병기 설정은 세계 모든 나라가 사용하는 표준 지침이 될 정도로 높은 공신력과 권위를 가진다. 이 중 김연욱 교수가 위원으로 활동하게 될 다학제위원회는 세계 각지의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등 폐암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폐암 진료에 필수적인 다학제팀의 구성과 역할에 대한 국제적 표준화와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폐암은 절개와 출혈 없이 폐 세포를 채취해 조직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진단 과정부터 여러 분야의 의료진이 협업해야 하며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등 치료방법을 결정할 때도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환자, 보호자가 직접 참여하는 다학제 진료가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김연욱 교수는 “한국뿐만 아니라
유방조직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인 유방암. 여성 암 발생 순위 1위이지만,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려운 암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방암은 5년 생존율 93%로, 다른 주요 암에 비해 예후가 좋은 편에 속한다.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에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료받은 유방암 환자 3250여 명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조사한 결과, 수술 가능 환자의 5년 무재발생존율은 90.3%였다. 병기별 재발률도 1기 5%, 2기 11%, 3기 23%로 나타났다. 지난해 847명의 환자가 방문해 수술을 받은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의 강석윤 센터장(종양혈액내과)에게 유방암 치료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그는 “비록 유방암의 발생은 증가 추세이지만, 조기에 발견 시 충분히 완치가 가능하고 재발하거나 전이가 동반된 상황에서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한다면 장기간 생존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마음의 종양도 남지 않도록…환자의 ‘삶의 질’ 고려 강 센터장은 “이전에는 단순히 유방암을 진단, 치료성적에 집중했다면 현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갖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방암 수술 시 유방 절제 범위와 그에 따른 흉터를 최소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유방암이 지난 20년간 꾸준한 발생률 증가 추세를 보이며, 갑상선암을 제치고 여성 암 발생 순위 1위에 올랐다. 유방조직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하는 유방암은 초기엔 대부분 증상이 없어 발견이 힘든 암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다행히 유방암은 5년 생존율이 93%로 다른 주요 암에 비해 예후가 좋은 편이다. 실제로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에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료받은 유방암 환자 3250여 명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조사한 결과, 수술이 가능한 환자에서 5년 무재발생존율은 90.3%였다. 병기별로 분석해보면 1기 유방암 97%, 2기 유방암은 91.1%, 3기 유방암은 77.2%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후 얼마나 치료가 잘 됐는지 알 수 있는 병기별 재발률도 1기 5%, 2기 11%, 3기 23%로 전국 평균 재발률과 비교할 때 1기는 비슷하고 2기와 3기는 재발률이 낮았다. 유방암은 단일 치료가 아닌 다양한 방법의 치료를 복합적으로 시행하는 대표적인 암이다. 때문에 여러 진료과의 긴밀한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는 유방외과, 성형외과, 종양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