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문화재단은 오는 11월 2일 동서양 현악기의 특별한 만남 ‘첼로가야금 2.0 콘서트’를 용인문화예술원 마루홀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2024년 순수예술을 통한 전국 공연장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우수한 창‧제작 작품을 선정해 전국 국‧공립 공연장에서 공연을 개최함으로써 국민의 문화 향유권 확대와 사각지대 없는 공연 유통 기반을 마련한다. 연주를 펼칠 ‘첼로가야금’은 한국계 오스트리아인 첼로 연주자 김솔 다니엘과 한국인 가야금 연주자 윤다영이 독일 베를린에서 결성한 예술 단체다. 2016년부터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폴란드 등의 세계적인 공연장과 페스티벌에서 공연 한 바 있으며, 2017년부터는 국내에서도 2021년 한국-네덜란드 수교 60주년 기념행사 및 2023년 주이탈리아 한국 문화원 주관 행사 등에 공식 초청됐다. 2018년엔 수림문화상을 수상했고 2020년엔 정동극장 청춘만발 올해의 아티스트에 선정됐다. ‘첼로가야금’은 조선시대 저잣거리의 느낌을 첼로와 가야금의 퍼커시브(기타 연주에서 현을 때리거나 잡아 뜯으면서 내는 연주법)로 표현한 ‘한양’, 컨트리‧블루스 등 20세기 미국 음악의 스토리텔링
그룹 블락비(Block B) 태일, 비범, 재효, 유권, 박경, 지코, 피오가 9월 3일(화) 오후,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 KBS 신관 TV공개홀에서 진행되는 KBS 2TV '더 시즌즈 - 지코의 아티스트' 마지막 녹화를 위해 방송국에 도착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 '다음에서 보기 : Youtube' 버튼을 클릭하시면 원본 영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락비는 2011년 4월 데뷔한 7인조 그룹으로 'HER', '예스터데이', '토이', '잭팟', '닐리리맘보', '베리 굿', '난리나' 등 다수의 히트곡이 있으며 2018년 미니 6집 리패키지 앨범 'Re:MONTAGE' 이후 활동을 하고 있지 않아 해체설이 돌기도 했으나 멤버들은 해체하지 않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 제공입니다.
수원시립미술관에서 지난 9월 12일부터 개최된 NC문화재단 협력 교육전시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이12월 17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은 수원시립미술관의 첫 기업 협력 전시로, ‘일상적 창의성’을 주제로 현대미술 작가 고요손, 안데스 2인이 참여했다. 전시와 워크숍, NC문화재단의 창의 공간 ‘프로젝토리’가 어우려진 ‘참여형 교육 전시’ 형태로 진행됐다. 고요손 작가는 작품명과 같은 ‘Sand, Bed, Museum’ 워크숍에서 참여자와 함께 작품과 동행하는 팔달산 오르기, 1박 2일 미술관 투어를 통해 작품과 미술관에 대해 재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베이킹과 지질학의 공통분모에 대해 탐구하는 작가 안데스는 작품‘지질학적 베이커리’ 시리즈와 연계해 매주 전시장에서 빵을 굽는 베이킹 워크숍 ‘토요 베이커리’, 빵을 통해 지질학을 탐구해 보는 전시와 동명의 워크숍을 진행했다. NC문화재단과 함께한 ‘프로젝토리’는 수원시 최초로 선보이는 창의적 교육의 롤 모델을 제시하는 교육 공간이다. 크루(스텝)와 멤버(참여자)로 구성된 공간에서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활용해 자유롭게 발상하고 표현하는 창의 활동이 이어졌다. 특히 전시 기간
수원시립미술관은 NC문화재단 협력전시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전시 연계로 안데스 작가의 ‘지질학적 베이커리’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안데스 작가는 2017년 남미 여행 중 안데스산맥의 지형과 먹고 있던 케이크의 형상이 비슷하다는 상상력에서 작품을 전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빵을 통해 지질학을 탐구해보는 색다를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참여자는 베이커리 카트에 배치된 빵과 사물 카드를 보고 ‘빵을 돌같이 보기’, ‘돌을 빵같이 보기’, ‘나만의 지질학적 빵 그리기’ 활동을 진행하며 주말에는 직접 빵을 먹어볼 수 있다. 프로그램은 17일까지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전시가 개최되는 3전시실 앞에서 무료로 운영되며 사전 예약 없이 현장에서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수원시립미술관은 지난 4일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 전시의 참여작가 고요손과 함께 1박2일 워크숍 ‘Sand, Bed, Museum’을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은 수원시립미술관과 엔씨문화재단이 협력, 기획한 참여형 교육 전시로, 엔씨문화재단의 청소년 창의성 개발 사업 ‘프로젝토리(Projectory)’와 현대 미술 작가 고요손, 안데스가 참여했다. 워크숍엔 총 15명의 시민이 참여했으며, ‘프로젝토리: 평범함의 비범함’ 전시의 주제인 ‘일상적 창의성’ 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가치를 확립했다. 고요손 작가는 전시실이라는 공간과 그 안에 놓인 작품, 관람객이 만들어내는 관계를 통해 창의성을 전달했으며, 워크숍 참여자는 전시실에 놓인 작품을 선택해 직접 몸에 지니고 작가와 어둡고 텅 빈 미술관을 손전등으로 비춰가며 산책을 즐겼다. 이외에도 작가의 작품 모형을 쿠키로 제작하고 옥상에서 시식하는 등 미술관의 이면을 체험하는 활동들이 진행됐다. 이번 워크숍은 작가의 퍼포먼스형 워크숍으로 작가와 참여자, 미술관이 갖는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는 데 의의가 있다. 워크숍의 모든 활동은 추후 전시장 내 작가의 영상 작품으로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