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솔(안산공고)이 제2회 양구국토정중앙배 전국역도경기대회서 금메달 3개를 목에 걸었다. 김예솔은 14일 강원 양구군 용하체육관서 열린 대회 이틀째 여자고등부 49㎏급서 인상 61㎏, 용상 80㎏, 합계 141㎏으로 3관왕에 올랐다. 그는 인상 2차 시기서 61㎏을 성공해 우승을 확정지은 뒤 3차 시기서 64㎏에 도전했으나 바를 떨궜다. 용상에서는 1차 시기서 80㎏을 들어 이연서(강원체고·65㎏)와 김보별(전남 다향고·35㎏)을 가볍게 따돌리며 금메달을 확보했다. 이후 김예솔은 2, 3차 시기서 각각 85㎏, 90㎏으로 무게를 늘려 도전을 이어갔지만 바를 들지 못했다. 여고부 55㎏급에서는 신유빈(안산공고)이 2관왕에 등극했다. 인상에서 61㎏으로 박서현(강원체중·62㎏)에 1㎏ 뒤져 아쉽게 은메달을 획득한 신유빈은 용상서 75㎏으로 1위에 입상했다. 이어 인상과 용상을 합안 합계서 136㎏을 기록하며 박서현(132㎏)을 누르고 다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한편 현소율(안산공고)은 여고부 64㎏급서 인상 72㎏, 용상 91㎏, 합계 163㎏으로 은메달 3개를 거머쥐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현소율(안산공고)이 제84회 문곡서상천배 역도경기대회서 3관왕을 들어 올렸다. 현소율은 23일 강원 양구군 용하체육관서 열린 대회 이틀째 여자고등부 64㎏급에서 인상 74㎏, 용상 95㎏, 합계 169㎏을 기록하며 금메달 3개를 손에 넣었다. 인상 3차 시기서 74㎏을 성공한 현소율은 엄희연(김해 영운고·73㎏), 구분아(충북체고·70㎏)를 누르고 첫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어 용상 2차 시기에서 95㎏를 들어 1위를 확정한 현소율은 3차 시기에서 100㎏에 도전했으나 바를 떨궜다. 현소율은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서 169㎏을 기록, 엄희연(163㎏)과 구분아(157㎏)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3관왕을 완성했다. 한편 여고부 49㎏급에서는 김예솔(안산공고)이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인상에서 58㎏을 기록하며 입상에 실패한 김예솔은 용상 3차 시기서 88㎏을 들어 대회신기록(종전 85㎏)을 경신했다. 그러나 이아연(충북체고)이 3차 시기에서 89㎏을 성공해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김예솔은 합계서 146㎏으로 준우승에 만족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송다솜(안산공고)이 제72회 전국 춘계남자역도경기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송다솜은 26일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용하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첫 날 남자고등부 61㎏급 용상과 합계에서 우승하며 금메달 두 개를 목에 걸었다. 인상 3차 시기에서 94㎏을 성공한 송다솜은 이석호(강원 원주고·95㎏)에 1㎏ 뒤져 아쉽게 은메달에 머물렀다. 그러나 송다솜은 이어 열린 용상 3차 시기에서 123㎏을 뽑아들어 이석호(121㎏)와 주세윤(전북 순창고·116㎏)을 따돌리고 첫 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용상에서 선전을 펼친 송다솜은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에서 217㎏를 기록하며 이석호(216㎏)와 주세윤(206㎏)을 누르고 1위에 입상, 2관왕에 등극했다. 이밖에 남고부 67㎏급에서는 최시훈(안산공고)이 은 1개, 동메달 2개를 손에 넣었다. 최시훈은 인상 2차 시기에서 100㎏을 성공해 배현석(경남체고·115㎏)에 이어 2위에 올랐고 용상에서 121으로 배현석(140㎏), 이대경(원주고·131㎏)에 이어 3위에 만족했다. 그는 합계에서 221㎏을 기록, 배현석(255㎏)과 이대경(원주고·231㎏)에 다음으로 시상대에 올라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여고부 64㎏급에서는 김
김정민(안산공고)이 '제95회 전국남자역도선수권대회' 용상에서 한국 학생신기록을 작성했다. 김정민은 23일 경남 고성군 역도전용경기장에서 ‘제37회 전국여자역도선수권대회’를 겸해 열린 대회 나흘째 남자고등부 73㎏급 용상에서 대회신기록과 한국 학생신기록을 갈아치우며 2관왕에 올랐다. 인상 2차 시기에서 128㎏을 성공한 김정민은 장유준(충남체고·134㎏)에 이어 2위에 올랐다. 용상 1차 시기에서는 172㎏을 들어 대회신기록(종전 170㎏)과 한국 학생신기록(종전 171㎏)을 경신한 그는 일찌감치 1위를 확정지은 뒤 2차와 3차시기에서 180㎏에 도전했으나 들어 올리지 못했다. 이후 김정민은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에서 300㎏을 기록하며 장유준(299㎏)과 박건구(충북체고·294㎏)를 따돌리고 시상대 맨 위에 섰다. 또 여고부 55㎏급에서는 김예빈(경기체고)이 금메달 두 개를 목에 걸었다. 인상 2차 시기에서 69㎏을 들어 이예원(강원체고·73㎏), 권가름(대구체고·70㎏)에 이어 3위에 입상한 김예빈은 용상 2차 시기에서 94㎏을 성공해 권가름(92㎏)과 이예원(88㎏)을 앞서 정상을 차지했고 합계에서도 163㎏으로 우승했다. 이밖에 남고부 61㎏급 송다
경기콘텐츠진흥원(원장 민세희, 이하 경콘진)은 지난 28일 개최한 ‘2022 경기 콘텐츠 창의학교 경진대회’에서 수원하이텍고등학교와 안산공업고등학교가 대상을 수상했다고 30일 밝혔다. 경진대회는 ‘경기 콘텐츠 창의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개발한 콘텐츠 결과물을 최종 발표하는 행사로, 결선에는 경기도 14개 시, 20개 학교의 45팀 중 본선을 통과한 10팀이 최종 참가했다. 결선에서는 대상(경기도지사상, 경기도교육감상) 2팀, 최우수상(시장상) 14팀, 우수상(경기콘텐츠진흥원장상) 10팀을 선발했다. ‘경기도지사상’은 수원시 수원하이텍고등학교의 ‘WeSN(위에스엔)’팀이 수상했다. ‘WeSN(위에스엔)’ 팀은 ‘Ecobin(환경을 위한 캔-플라스틱 자동 분리 쓰레기통)’을 제작했다. ‘경기도교육감상’은 안산시 안산공업고등학교의 ‘하얀연모’팀이 수상했다. ‘하얀연모’팀은 ‘리미디(우울증 치료에 도움을 주는 디지털 치료 모바일 앱)’를 제작했다. 이번 경진대회에는 교육과정 기간 배운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결과물들이 나왔다. 친환경 제품 및 독립서점을 소개하는 책, 학생 출결과 일정을 관리하는 스마트 로봇, 2D 및 3
“전국체전에 대한 부담감이 컸지만 좋은 결과가 나와 정말 기뻐요.” 박혜정(안산공고)는 8일 울산광역시 울산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이틀째 역도 여자 19세 이하부 +87㎏급에서 3관왕 달성한 뒤 “요즘 슬럼프에 빠져 있어서 전국체전을 앞두고 준비를 잘 하지 못했지만 시합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해 만족스럽다”고 소감을 전했다. 박혜정은 인상에서 124kg, 용상에서 161kg를 들어 올려 합계 285kg으로 하보미(경북체고·합계 212 kg),와 유해빈(전북체고·합계 195kg)을 가볍게 제압하고 3관왕에 올랐다. 박혜정은 우승을 확정힌 뒤 “아쉬움이 남지만 아쉬운 경과는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오늘 비록 기록 경신에 실패했지만 이번 결과는 저를 자극시키는 촉진제 같은 역할을 하고, 제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양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혜정은 이어 “경기 시작 전 준비운동을 하면서 집중력이 많이 떨어진 것을 느꼈는데 후배, 감독님, 코치님께서 응원해주고 멘탈 관리도 해 주셔서 집중력을 되찾았아 연습때는 들지 못했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인 박혜정은 졸업 후 고양시청
‘한국 여자 역도 경량급 기대주’ 김이안(안산공고)이 제49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시·도학생역도경기대회에서 3관왕에 올랐다. 김이안은 25일 강원도 양구군 용하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4일째 여자고등부 64㎏급 인상과 용상, 합계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금메달 3개를 목에 걸었다. 김이안은 인상에서 85㎏을 성공시켜 유경희(강원 원주여고·80㎏)와 이재은(충남체고·73㎏)을 꺾고 정상에 오른 뒤 용상에서도 110㎏을 들어올려 이재은(97㎏)과 유경희(89㎏)의 추격을 뿌리치고 1위를 차지했다. 김이안은 인상과 용상을 합한 합계에서도 195㎏을 기록해 이재은(170㎏)과 유경희(169㎏)를 여유있게 따돌리고 3관왕을 완성했다. 또 남고부 81㎏급에서는 여대환(경기체고)이 인상에서 121㎏으로 전영민(경남 김해영운고·113㎏)과 김동우(경기체고·108㎏)를 제치고 1위에 오른 뒤 용상에서도 163㎏을 들어올려 전영민(157㎏)과 김동우(132㎏)를 제치고 우승했고, 합계에서도 284㎏으로 전영민(270㎏)과 김동우(240㎏)를 제압하며 3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이밖에 여고부 71㎏급에서는 이주명(수원 청명고)이 인상 80㎏, 용상 101㎏, 합계 181㎏으로
안산 선부중이 제33회 경기도회장배 역도경기대회 중등부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3일 안산와스타디움 역도장에서 마무리된 제33회 경기도회장배 역도경기대회 결과 선부중은 도내에서 가장 많은 남녀 총 8명의 우승자를 배출했다. 선부중은 여중부 40㎏급 신유빈이 인상 25㎏, 용상 34㎏, 합계 59㎏으로 3관왕에 올랐다. 또 여중부 45㎏급 김예솔(합계 73㎏), 55㎏급 조효아(합계 79㎏), 64㎏급 현소율(합계 120㎏), +81㎏급 윤채린(합계 88㎏)이 각 체급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남중부에선 55㎏급 최시훈이 인상 55㎏과 용상 67㎏, 합계 122㎏에서 모두 1위에 올랐고 61㎏급 김민준(합계 135㎏)과 67㎏급 송다빈(합계 210㎏)도 나란히 패권을 안았다. 선부중에 이어 수원중이 총 6명의 우승자를 배출했다. 여중부에선 71㎏급 배서현(합계 44㎏)을 비롯해 81㎏급 김혜은(합계 59㎏), +81㎏급 차승은(합계 116㎏)이 1위를, 남중부에서 55㎏급 이병욱(합계 54㎏), 73㎏급 박세훈(합계 85㎏), 81㎏급 이치헌(합계 175㎏)이 각 체급별 정상에 등극했다. 고등부에선 안산공고 4명, 경기체고 3명의 우승자가 나왔다. 안산
‘한국 여자 역도 최중량급 간판’ 박혜정(안산공고)이 2022 세계역도주니어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3개를 목에 걸었다. 박혜정은 10일(현지시간) 그리스 헤라클리온에서 열린 세계주니어선수권 여자 최중량급(+87㎏급)에서 합계 281㎏(인상 120㎏, 용상 161㎏)을 들어올려 3개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역도는 박혜정의 우승으로 세계주니어역도선수권 여자 최중량급 우승 타이틀을 3년 만에 되찾아 왔다. 인상 1차에서 113㎏을 들어 올린 박혜정은 112㎏에 성공한 아리사멀 산시즈바예바(카자흐스탄)를 따돌리고 첫 번째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어 120㎏ 도전에 성공한 박혜정은 3차 시기에서 자신의 인상 최고 기록(125㎏)보다 무거운 126㎏에 도전했으나 실패했다. 용상 1차에서도 박혜정은 150㎏을 들어 145㎏을 든 용상 2위 김효언을 가볍게 제쳤다. 2차 시기에서 161㎏을 든 박혜정은 3차 시기에서 자신이 보유한 한국 기록(166㎏)보다 무거운 167㎏에 도전했지만 들어 올리진 못했다. 박혜정은 자신의 합계 최고인 290㎏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여유 있게 우승했다. 이날 대회에선 김효언(한국체대)이 합계 253㎏(인상 108㎏, 용상 145㎏)
‘한국 여자 역도 경량급 유망주’ 김이안(안산공고)이 제81회 문곡서상천배 역도경기대회에서 3관왕에 올랐다. 김이안은 9일 충남 서천군 서천군민체육관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여자고등부 64㎏급 인상에서 87㎏을 들어올려 강채린(대전체고·86㎏)과 임가원(부산체고·78㎏)을 꺾고 우승했다. 김이안은 이어 용상에서 112㎏을 성공시켜 강채린(108㎏)과 임가원(93㎏)을 제치고 1위에 오른 뒤 합계에서도 199㎏으로 강채린(194㎏)과 임가원(171㎏)을 여유있게 따돌리고 3관왕에 등극했다. 또 남고부 73㎏급에서는 김정민(안산공고)이 인상 118㎏, 용상 160㎏, 합계 278㎏으로 2위와 합계 30㎏ 이상의 압도적인 기량차를 보이며 3관왕에 올랐고, 여고부 71㎏급에서는 이주명(수원 청명고)이 인상 73㎏, 용상 100㎏, 합계 173㎏으로 3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이밖에 여고부 76㎏급에서는 윤예진(안산공고)이 용상(110㎏)과 합계(194㎏)에서 은메달, 인상(84㎏)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같은 체급 전유빈(청명고)은 인상(85㎏) 2위, 합계(192㎏) 3위에 올랐으며, 남고부 61㎏급 송다솜(안산공고)도 용상(107㎏) 2위, 인상(80㎏)과 합계(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