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는 24일부터 광교 신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한다. 1993년 수원 팔달산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한 이래 29년 만에 새로운 청사 시대를 개막하는 것이다. 2017년 9월 첫 삽을 뜬 경기도의회 광교 신청사는 총 사업비 4780억원을 들여 수원시 영통구 일대 2만6184㎡ 면적에 지하 4층, 지상 12층, 연면적 3만3000㎡ 규모로 건립됐다. 광교 신청사는 과거 팔달산 청사보다 규모가 2.4배 크다. 커진 규모만큼 청사 내 각종 공간의 면적이 넓어졌고, 다양한 시설이 들어섰다. 우선 청사 9~12층에는 의장실과 상임위원장실 17실과 의원실 125실 등이 배치됐다. 의원실 당 평균 면적은 30㎡로 이는 서울시의회 25㎡, 경북도의회 27㎡ 보다 3~5㎡ 넓다. 내부 회의 공간 면적도 증가했다. 상임위원회 회의실은 과거보다 5㎡ 커진 129㎡이며, 본회의장과 대회의실 면적도 평균 1.45배 늘었다. 아울러 건강관리실, 의원샤워실, 체력단련실, 100석 규모의 구내식당 등 의원과 사무처 직원이 이용하는 복지시설도 새롭게 마련됐다. 광교 신청사에서 가장 주목할 공간은 의회의 ‘심장’으로 불리는 본회의장이다. 신청사 본회의장 구조는 대의 민주주의 기관으로 지방의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은 “사람이 힘을 모으면 산도 옮길 수 있다는 중력이산(衆力移山)의 정신으로 코로나19 등 위기 극복에 힘을 모아야한다”고 말했다. 장 의장은 3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의회사무처 시무식에서 “경기도의회는 새 시대를 맞아 올해도 변함없이 도민의 대의기관으로 소임을 다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장 의장은 “지난해는 강력한 거리두기로 일상적 제약에도 많은 가능성을 확인한 한 해였다”면서 “의회는 인사권 독립, 정책지원관 운영, 의정지원 역량 강화 등 준비에 최선을 다한 결과 희망찬 새 출발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장 의장은 올해 전부 개정된 지방자치법 본격 시행과 신청사 이전에 따른 광교시대 시작을 언급하며 “새 시대의 성공적 시작과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의회사무처 가족 모두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의회사무처 공직자들을 향해 “서로 격려하고 즐겁게 일하는 희망찬 임인년(壬寅年)을 만들어보자”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시무식에는 이계삼 신임 의회사무처장도 참석했다. 이 사무처장은 “의회사무처의 새로운 체계가 현장에서 원만히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