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이 2024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추가했다. 한국은 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패럴림픽 보치아와 배드민턴에서 나란히 메달 획득에 성공했다. 이날 은 2개, 동메달 1개를 추가한 한국은 금 2개, 은 5개, 동메달 6개 등 총 13개의 메달로 일본과 공동 18위에 올랐다. 장애인 배드민턴 듀오 정재군(울산중구청·WH1)-유수영(한국장애인고용공단·WH2) 조는 이날 프랑스 파리 포르트드라샤펠 경기장에 열린 대회 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인 중국의 마이젠펑-취쯔모 조에 세트 점수 0-2(10-21 12-21)로 패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두 선수는 세계 최강팀을 상대로 분투했으나 금메달을 따지는 못했다. 이날 장애인 배드민턴 남자 단식(스포츠등급 WH1) 준결승에서 정재군을 꺾은 최정만(대구도시개발)은 결승 진출에 성공해 은메달을 확보했다. '효자종목' 보치아에서는 메달 2개가 나왔다. 정소영(충남장애인보치아연맹)이 여자개인 스포츠등급 BC2 결승전에서 크리스티나 곤살베스(포르투갈)에게 4엔드 합산 점수 1-4(0-1 0-2 0-1 1-0)로 패해 아쉽게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 런던 패럴림픽 동메달리스트
2024 파리 올림픽 국가별 종합 순위에서 톱10에 오른 국가 중 대한민국 선수단의 참가선수 대비 메달 획득률이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선수단은 지난 달 27일부터 1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3회 하계올림픽에서 금 13개, 은 9개, 동메달 10개 등 총 32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가별 종합 순위 8위에 올랐다. 미국이 금 40개, 은 44개, 동메달 42개로 중국(금 40·은 27·동 24)을 은메달 수에서 따돌리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금 20·은 12·동 13)과 호주(금 18·은 19·동 16), 프랑스(금 16·은 26·동 22), 네덜란드(금 15·은 7·동 12), 영국(금 14·은 22·동 29)이 뒤를 이었다. 이탈리와(금 12·은 13·동 15)와 독일(금 12·은 13·동 8)이 한국에 이어 9위와 10위에 올라 톱10에 포함됐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금메달 13개로 2008년 베이징 대회(은 11·동 8)와 2012년 런던 대회(은 9·동 9) 때 기록했던 역대 하계올림픽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을 세웠다. 또 1988년 서울 대회 33개(금 12·은 10·동 11)에 이어 베이징 대회 때와 같은 32개
‘배구 여제’ 김연경(인천 흥국생명)이 자유계약선수(FA) 자격 취득을 눈앞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8일 김연경이 도드람 2022~2023 V리그 정규리그 여자부에서 12경기 출전해 앞으로 3경기만 더 뛰면 이번 시즌을 마치고 FA 자격을 얻는다고 밝혔다. KOVO는 매 시즌 출장(경기중 한 랠리에만 교체로 출전해도 1경기 출장으로 인정) 경기가 정규리그 전체 경기의 40% 이상일 경우 1시즌 경과로 보며, 이런 조건을 5시즌(고졸 입단 선수는 6시즌) 충족 시 FA 자격을 취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수원 한일전산여고(현 한봄고)를 졸업하고 2005~2006시즌 국내 프로배구에 데뷔한 김연경은 4시즌을 뛴 뒤 임대 선수 신분으로 일본으로 넘어갔고 이후 터키 등 다른 나라에서 활약했다. 2020~2021시즌을 앞두보 11년 만에 V리그에 돌아온 김연경은 한 시즌을 마무리 하며 5시즌을 채웠다. 김연경은 국외에서 이미 FA 자격을 얻었지만 국내에서는 고졸 이후 6시즌을 채워야 한다는 규정에 1시즌이 부족했다. 올해 다시 국내리그에 복귀해 국내 여자배구의 흥행을 이끌고 있는 김연경은 앞으로 3경기만 더 출전하면 전체 경기 수(36경기)의
평택 한광중이 제51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학생사격대회 남자중등부에서 대회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 송시우·이재연·이도현·문장훈이 한 팀을 이룬 한광중은 31일 전북 임실군 전북종합사격장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남중부 공기소총 단체전에서 1,842.8점을 획득, 대회신기록(종전 1,839.0점)을 갈아치우며 경북체중(1,842.4점)과 대구 매천중(1,816.5점)을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또 남고부 25m 권총 개인전에서는 김도엽(경기체고)이 574.0점을 기록해 최인화(573.0점)와 이세윤(572.0점·이상 서울 환일고)을 제치고 패권을 안았다. 남고부 50m 3자세에서는 정주완(고양 주엽고)이 본선에서 572점으로 공동3위에 오른 뒤 결선 금메달 결정전에서 16점을 획득해 6점을 따낸 유태훈(서울체고)을 누르고 우승했다. 이밖에 남초부 공기소총에서는 장동호(인천 동방초)가 385.8점을 쏴 추수(서울방일초·380.5점)와 이한준(한국외국인학교·276.2점)를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남초부 공기권총(양손파지) 허시우(군포 태을초)는 345.0점으로 김서준(숭덕초·332.0점)과 김성찬(인천 신정초·330.0점)을 제치고 정상에 등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