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의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율이 전국 평균 이하의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1일 친환경상품 보급 촉진을 위해 ‘친환경상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친환경상품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의무구매 제도 시행 2년을 맞아 지난해 구매실적을 집계 발표했다.
지난해 전국 704개 공공기관은 전체 대상제품 구매액(1조4천769억원)의 58.3%인 총 8천616억원에 달하는 친환경상품을 구매해 2005년 대비 구매액은 9.5%, 구매율은 15%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별로는 지방공사 및 공단이 19.3%로 가장 낮은 반면 중앙행정기관은 82%로 매우 높았다.
구매품목은 사무용품 및 사무기기가 58.4%로 집중돼 품목의 다양화 측면에서 아직 미흡했고, 친환경상품의 절반을 차지하는 토목과 건축 자재류는 17.1%에 불과했다.
전국 248개 지자체별 평균구매율은 68.6%로 이중 구매실적 상위 20개 기관에 포함된 도내 지자체로는 평택시청이 97.6%로 전국 6위를 차지한 반면 하위 20기관에는 남양주시청이 23.5%로 하위 9위를 차지했다.
도내 지자체별 지난해 구매율 상위 10위로는 평택시청이 19억8천여만원으로 97.6%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고, 군포시청(94%), 안양시청(92%), 여주군청(91.1%), 시흥시청(90.9%), 의왕시청(88.4%), 수원시청(84.9%), 이천시청(83.9%), 양주시청(81.8%), 용인시청(77.2%) 순이었다.
반면 구매율 하위 10위로는 남양주시청이 5억1천만원으로 23.5%로 최하위에 기록됐고, 이어 과천시청(36%), 오산시청(36.7%), 파주시청(47.4%), 가평군청(48.1%), 부천시청(49%), 광명시청(56.1%), 광주시청(59.5%), 화성시청(60.7%), 포천시청(61.1%) 등이 하위 불명예를 보였다.
경기도청도 총구매액 97억7천여만원 중 친환경상품구매액이 50억여원으로 51.2%로 211위의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전국 197개 교육청의 평균구매율은 41.9%고, 이중 구매실적 상위 20개 기관에는 시흥교육청이 74.1%로 8위를 차지했고, 하위 20위 안에는 포천교육청이 23.6%로 5위를 기록했다.
도내 교육청별로는 시흥교육청이 총구매액 30억여원 중 22억여원(74.1%)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양교육청(61.3%), 용인(59.9%), 의정부(54.8%), 광명(49.9%), 안성(49.1%), 가평(47.3%), 이천(47%), 연천(46%), 군포·의왕교육청(42.9%)등이 상위 10위안에 들었다.
반면 하위10위에는 포천교육청이 구매액 4억7천여만원으로 23.6%의 구매율로 가장 낮았고, 이어 여주교육청(26.2%), 동두천(27.6%), 양평(29.5%), 구리·남양주(33.1%), 수원(33.4%), 화성(33.9%), 평택(36.2%), 파주(37.3%), 김포교육청(37.8%) 순이었다.
경기도교육청은 총구매액 375억4천여만원 중 구매액이 99억여원(26.4%)로 전국 187위의 부진함을 보였다.
이밖에도 전국 30개 지방공사 중 경기지방공사가 28.9%(24위), 14개 지자체 출연연구원 중 경기개발연구원은 43.6%(6위)였다.
도 관계자는 “친환경상품 품목의 다양화 미흡과 제한적인 품목, 낮은 품질, 비싼 가격, 하도급 발주관행 등이 구매 애로사항”이라며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제의 실효성 있는 시행을 위해 기관별 구매실적 공개와 집중적인 교육·홍보시스템 구축, 대국민 홍보활동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