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주택시장 규제를 강화하면서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상가시장은 DTI 규제 반사이익처로 부각, 추석 이후 유동자금의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상가시장은 수익성과 위험성이 공존, 전문가들은 상가만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투자에 나섰다간 낭패를 보기 십상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와관련, 상가정보업체 상가정보연구소는 추석 이후 분양상가에 대한 투자 5계명을 소개했다.
▲아파트 투자 방식으로 접근 하지 말라
상가의 대표적인 특성은 개별성이 높다는 것이다. 층별, 호수별 가치가 크게 상이한 점에 대해 심사숙고 할 필요가 있다. 아파트 선택 시 환경적 요소와 교육 및 생활 편의시설 관계를 고려한다면 상가 선택 시에는 상권력과 시계성, 접근성이 중요 점검이다.
▲유형별 투자 전략을 달리해라
상가는 아파트단지내상가, 근린상가, 주상복합상가, 테마상가(쇼핑몰) 등 유형이 다양하다. 따라서 상품별 특성이 다양한 만큼 투자 전략을 달리해야 한다. 단지내상가의 경우 배후세대수, 소비층, 수익성을 고려한 합리적 응찰가 등이 주된 분석 항목이다. 근린상가는 상권형성 기간을 감안, 강한 상권력이 예상되는 지역이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선임대 상가를 공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주상복합상가는 접근성이 뛰어난 저층부를 공략하는 것이 좋다.
▲상권과 입지분석은 기본
상가 투자 시에는 상권력과 입지가 뛰어나 임차수요의 표적이되는 곳을 찾아야 한다. 이미 상권이 형성된 지역이라면 선별이 용이하나 신규상권의 경우라면 상권과 입지분석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수요층의 범위 및 상가 구성에 따른 주 동선 예측, 교통과 연계된 수요층 발생 시작점, 상급 업종 유치현황등을 구체화 시켜야 한다.
▲합리적 투자금을 운영하라
상가의 매입가는 녹록치 않다. 인기 지역일 경우 게릴라성 거품으로 수익보전에 위협적인 요인이 되기도 하며 지나치게 차입한 돈으로 투자하다간 수익성이 급락하기도 한다. 따라서 금리인상기 더더욱 차입금에 대한 비율 조정이 필요, 상가투자시 자기자본 비율은 70%가 적정하다.
▲포기도 투자 방법중 하나
상가 투자 역시 한번 결정한 물건은 되물리기 어렵다. 자신이 없다면 객관적인 정보습득을 위해 사전분석 전문업체에 의존하는 것이 좋다. 공급자의 일방적인 투자정보에만 이끌려서는 안되며 확신없는 투자를 할 바에는 다음을 기약하는 것이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