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수출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환 위험관리에 미흡한 것으로 조사돼 정부차원의 환율 안정정책과 환 위험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는 최근 도내 122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지역 수출중소기업 애로실태조사’결과 도내 수출기업의 60.0%가 ‘환 위험관리를 하고 있지 않다’라고 응답했다고 21일 밝혔다.
그 이유로는 ‘거래금액이 소액이기 때문’(38.5%), ‘환율전망을 할 수 없기 때문에’(32.3%), ‘적절한 방법을 모름’(24.6%) 등으로 집계됐다.
환 위험관리 방법으로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는 ‘대금 결제일을 조정하는 방법’(37.3%)과 ‘시중은행과 환율상담’(26.5%) 등을 꼽아 정부차원의 환 위험관리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하락에 따른 대처방법으로는 ‘제품단가 인상’이 45.9%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원가절감’ 39.4%, ‘결제통화 다변화’ 8.3%, ‘수출포기’가 5.5%로 나타나 제품 단가인상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가 수출환경 애로해소를 위해 가장 역점을 둬야 하는 사항으로는 ‘안정적 환율운용’(6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원부자재 가격안정’(20.0%), ‘해외마케팅 및 해외시장 정보제공’(14.0%), ‘여신만기 연장’(3.0%), ‘국산화 기술 지원’(1.0%) 등을 꼽았다.
중기중앙회 경기본부 관계자는 “도내 수출중소기업들이 환율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환 차손에 대해 자체적으로 대처할 만한 방안이 없고 환율전망을 하기도 어려운 상황”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환율안정정책과 환 위험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