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이마트와 중소슈퍼마켓이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추진 중인 공동구매 대행, 이마트 물류센터 활용 등의 협력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도내 지역슈퍼마켓 협동조합 측은 “슈퍼마켓 전체가 아닌 독단적인 사업 추진”이라며 반발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23일 홍광표 경기남부슈퍼마켓협동조합 이사장은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연합회장이 독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마트의 사탕발림에 넘어가면 향후 거대 지배력에 동네슈퍼들이 종속될 수 밖에 없어 사업추진이 무산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중부·서부·안산·성남시 슈퍼마켓조합 역시 “현재 추진 중인 협력안은 단기적으로는 중소 슈퍼마켓의 가시적 피해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더 큰 독과점을 키우게 될 것”이라며 “만약 사업이 시행되도 참여하지 않겠다”라는 반대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신세계 이마트와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등은 대·중소유통업체의 상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나 양측 간 이견차를 보이며 사업 추진이 현재까지 지연되고 있다.
이번 협력안은 현재 신세계 이마트가 도매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에 합의하고 결제조건 및 도매 수수료 등의 세부사항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배 한국슈퍼마켓협동조합 연합회장은 “중소슈퍼마켓들은 ‘주먹구구식’으로 경영을 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 및 제품 다양성 등을 키울 필요가 있다”며 “지역 조합들이 사업의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이번 협력안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 올해 내에는 합의점에 도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혀 도내 조합들의 반대에도 불구, 추진을 강행할 입장이다.
한편 도내 대부분의 슈퍼마켓 조합 측이 이마트와 상생협력에 대해 반발하고 나서면서 정부가 기업형슈퍼마켓(SSM)에 대항하기 위해 육성중인 ‘나들가게’ 사업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중기청은 올해 도내에서만 376개의 슈퍼마켓을 나들가게로 선정했다. 이 중 조합과 체인본부 소속 점포가 60%, 독립점포는 40%의 비율로 파악된다.
따라서 올해 나들가게에 선정된 점포 중 절반 가량이 이마트로부터 제품 등의 공급받는 것을 거부할 것으로 보여 나들가게 육성책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중기청 관계자는 “이번 협력안 자체가 강제가 아닌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이라며 “경기지역의 경우 올해 조합 등의 소속 점포의 비중이 높지만 내년에는 독립 점포의 참여가 많을 것으로 전망돼 나들가게 사업의 활성화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