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민간 건설사들의 공급 위축이 내년에도 지속돼 아파트 분양 물량이 20만 가구에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이는 지난 2007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로 향후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부작용이 초래될 것으로 우려된다.
부동산정보회사 부동산114가 상위 100위권 민간 건설사 중 현재까지 내년 아파트 분양계획이 있거나 계획을 수립한 50여곳의 분양 물량을 집계한 결과 전국적으로 230여개 단지, 총 18만8천485가구(도시정비사업의 조합원분 포함)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점에 조사한 분양계획 물량 25만8천466가구에 비해 27% 감소한 것이며 부동산114가 분양계획을 조사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2007년 당시 분양계획인 43만2천478가구에 비해서는 무려 56%가 감소하며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내년 분양계획 중 도시정비사업의 조합원분을 제외한 일반분양분은 약 14만가구로 추산된다.
지역별 물량은 경기도가 7만1천844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 3만6천903가구, 인천 1만7천38가구로 수도권(12만5천785가구)이 전체의 66.7%를 차지했다.
건설사별로는 대우건설이 판교신도시 주상복합아파트와 서울 왕십리 3구역, 북아현 1-2구역 등 일반 도급 및 재개발, 재건축 사업 등을 통해 1만5천여가구의 최대 물량을 내놓는다.
또 현대건설과 대림산업은 각각 1만1천여가구, GS건설은 1만여가구를 분양한다. 아직 사업계획을 정하지 못한 삼성물산도 1만여가구 분양을 계획 중이다. 롯데건설과 현대산업개발, 한화건설은 각각 7천800여가구를 공급한다.
그러나 계획 대비 실제 분양실적이 얼마나 달성될지는 미지수다. 올해 민간 건설사들의 분양실적은 지금까지 8만9천781가구로 작년 말 수립한 분양계획(25만8천466가구)의 35%에 그쳤다.
김규정 부동산114 본부장은 “민간 건설사의 분양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부작용이 향후 3~4년간 계속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