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물류 비용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무역협회가 종업원 10명 이상 국내 1천272개 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2009년도 기업물류비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 비율은 8.37%로 2007년(9.1%)과 비교해 0.73%p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16.80%), 기계·장비(10.62%), 음식료품(10.35%)의 물류비 비율이 높았다.
반면 가죽·신발(3.20%)과 전자부품·통신장비(4.34%)는 낮아 이들 두 업종의 물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나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수출입물류비 포함) 비율은 지난 1997년 12.9%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는 정부와 업계의 지속적인 물류 개선 및 효율화 노력 때문으로 무역협회는 설명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순수 국내물류비 비율은 6.63%로 경쟁국인 일본기업의 4.77%에 비하면 여전히 높아 물류비 절감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 기업의 기능별 물류비 비중은 보관비 52.6%, 운송비 41.9%, 포장비 3.4%, 하역비 1.6% 순으로 컸다.
보관비 비중이 운송비 비중보다 높은 것은 최근 중소업체들을 중심으로 재고 부담에 따른 이자비용이 많이 드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체들은 물류비 절감을 위해 배송빈도 개선 및 적재율 향상 등의 자구노력을 하면서 전문 물류기업을 통한 아웃소싱이나 물류공동화 같은 선진 물류관리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아가 물류거점에 대한 행정 및 세제지원 확대, 첨단 물류시스템 보급, 물류운영시스템 개선, 물류전문기업 육성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