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56개 대기업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이행실적을 평가받는다. 이들 기업은 매년 한 차례 동반성장지수(인덱스)에 따른 평점 결과로 등급별, 순위별 등으로 서열화된다.
동반성장위원회는 23일 ‘동반성장지수 추진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노력을 평가받는 국내 대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모두 56곳으로 확정됐다.
이르면 내년 2월 처음 발표될 평점은 연간 한 차례 있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별 동반성장 이행실적 평가(정량)에, 두 차례 동반성장위가 주도하는 1, 2차 협력 중소업체의 대기업별 체감도평가(정성)가 보태져 산출된다.
시행 첫해인 올해는 전기·전자, 기계·자동차·조선, 화학·비금속·금속, 건설, 도·소매, 통신·정보서비스 등 6대 산업군별로 매출액 및 중소기업과의 협력관계를 고려해 56개 대기업이 평가대상으로 선정됐다.
전기·전자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11곳이, 기계·자동차·조선에서는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기아자동차 등 15곳이 각각 대상이 됐다.
화학·비금속·금속 분야는 SK종합화학, 포스코, GS칼텍스 등 10곳이 대표 업체에 올랐고 건설 부문은 삼성물산(건설부문), 현대건설, GS건설 등 12곳이 평가리스트에 포함됐다. 이외에도 도·소매 유통에 3곳, 통신·정보서비스 부문은 5곳이 지정됐다.
정운찬 위원장은 “동반성장 노력을 많이 한 기업에 대해 세금을 감면해 주는 방안과 대기업이 추가 이익을 거뒀을 때 이익을 협력사와 나누는 ‘프로핏 세어링’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와 관련 중소기업중앙회는 “지속가능한 동반성장 유인 수단이 마련됐다”며 일단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기중앙회는 관계자는 “이번 평가로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 정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평가를 위해선 동반성장지수 산정·공표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모기업의 거래단계별 협력업체 명단 공개가 가능토록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