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관리사 자격시험이 FTA 시대에 맞아 유망 자격증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일정기간 의무교육을 받아야 응시가 가능하고 교육비용 또한 만만치 않아 수출기업과 대학생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FTA 담당인력을 길러내기 위해 마련된 ‘원산지관리사’ 자격시험은 국제원산지정보원에서 지난해 6월부터 매년 두 차례 시행 중이다.
FTA관세특례법 제7조에 따라 유럽을 대상으로 6천 유로(건당) 이상 수출실적의 기업은 ‘원산지인증업체’의 인증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인증요건 중 하나가 ‘원산지 관리 전담자’ 보유하는 것이어서 관련 기업들은 자연스럽게 원산지관리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처음으로 시행된 지난해 6월 284명(150명 합격)의 응시생이 몰렸고 2회차 하반기(11월) 시험에는 383명(91명 합격)이 접수했다.
전국적으로 약 8천개 업체가 원산지인증 대상 업체인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응시생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시험응시를 위해선 국제원산지정보원에서 주관하는 총 3일간(총 24시간)의 교육을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해 응시생들은 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도내 A기업 한 관계자는 “유료 교육을 받는다고 해서 시험과정에 가산점과 특별한 혜택을 주어지는 것도 아닌데 응시자격에 제한을 두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현재 시험이 국제무역연구원 단독으로 운영되는 것도 독과점을 키우는 꼴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더욱이 기업체의 경우 FTA 활용지원센터 등에서 20만원의 교육비용이 지원하고 있는 반면 일반인 및 대학생은 이렇다 할 지원책도 없어 차별대우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원 소재 K 대학에 재학 중인 한모(26) 학생은 “무역업체 취업을 위해 원산지관리사 자격을 준비하고 있는데 30만원의 교육비용은 학생으로써 큰 부담일 수 밖에 없다”며 “정말 필요한 교육이라면 시험 이후 합격자만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켜도 되는데 결국 돈벌이로 이용하는 거 아닌지 의심스럽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제원산지정보원 관계자는 “응시자들로부터 시험과정에 대해 여러가지 애로 및 건의가 발생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이에 따라 지정 교육처를 여러 곳으로 확장하는 등의 내용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교육비용 등의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까지 시행된 원산지 관리사의 응시생은 일반기업이 45%, 관세사 및 세무사 등 전문인 25%, 일반 및 대학생이 10%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