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도내 수원, 송탄, 성남 비행장을 화성의 시화호 간척지로 옮기자고 공군에 공식 제안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2009년에도 수원공군비행장의 이전 대체부지로 시화호를 제안한 바 있다.
김 지사는 19일 수원제10전투비행단에서 열린 ‘현장 실·국장회의’에서 “6천799만평 비행장을 세 개 만들 정도의 땅이 화성시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도내 3개 비행장을 화성 시화호로 옮긴다면 몇 년 내에 세계 최고의 활주로를 갖춘 비행장 확보가 가능하다”면서 “화성시 땅은 국유지이고 낙후지역이어서 그 부분(비행장 이전)을 검토해 봤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10전투비행단을 화성 시화호 간척지로 옮기는 것을 검토했었다”며 “비행장을 이전하게 되면 현재 220만평(6.5㎢)인 비행장을 6천만평(198.3㎢)으로 넓히고, 공군 비행기도 최신으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말한 수원비행장의 시화호 이전은 2009년으로 거슬러 간다.
수원비행장 인근 주민 20여만명이 2005년 11월부터 국가를 상대로 소음피해 소송을 제기해 다섯차례 1심 승소판결을 받으면서 2009년 10월 수원비행장 이전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
당시 수원시는 수원비행장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했고, 경기도는 수원비행장 대체부지로 시화호 일대를 염두에 뒀었다.
그러나 국방부가 인천국제공항과의 공역(空域) 문제로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수원비행장 시화호 이전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같은 김 지사의 제안에 장경식 10전투비행단장은 “비행장 이전문제는 단순히 부지면적으로 따질 수 없다”며 “경기도와 국방부, 공군본부가 정말 긴밀히 연구할 사항”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김 지사는 "수원에는 이전부지가 없고, 화성과 안산도 시간이 지나면 다른 건축물이 계속 들어온다. 그러면 대안이 없어진다”면서 화성 시화호로의 비행장 이전을 거듭 강조했다.
현재 국회 국방위원회도 대통령선거를 앞둔 지난해 11월16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이 소음과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군 공항의 이전을 건의하면 국방장관이 이전후보지 단체장과 협의해 주민투표를 실시한 뒤 이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켜 놓은 상태다.
한편, 도는 수원비상활주로 고도제한 적용범위내 주거와 상업용 토지의 피해액이 수원시(516억원)와 화성시(154억원)를 모두 합쳐 670억원 정도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반면, 비상활주로를 수원비행장내로 이전할 경우 건설투자(주택·상가) 3조3천996억원과 소득창출 2조6천861억원 등 6조857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5만950명의 고용창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