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원전사고로 인한 후유증이 크다. 최근 일본산은 물론 동해안에서 잡히는 수산물 대신 서해안의 수산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서 볼 수 있듯이 방사능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원자력 발전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원자력 대신 차세대 에너지원의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에너지란 원자력과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풍력, 태양광, 해수의 흐름을 이용한 조력발전, 연료전지발전소 등을 말한다. 일본 원전 사고 영향에다 지난 여름 국내 원전문제로 심각한 전력난을 겪으면서 국민들은 원자력보다는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에 관심을 쏟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햇빛, 물, 바람, 지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다. 그러므로 지구가 멸망하지 않는 한 지속 가능한 미래에너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펑펑 쓰고 있지만 지구의 역사로 보자면 얼마 안 있어 금방 바닥을 드러낼 화석에너지와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에서 보듯이 위험성이 높은 원자력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과 연료전지발전은 공해가 거의 없는 친환경 에너지시스템이다.
원래 이명박 정부는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적다며,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을 41%로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 효율과 생산성을 앞세웠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이어 한국 원전 비리 등 사고가 잇따르면서 신뢰도가 급락했다. 이에 박근혜 정부는 원자력보다는 친환경 에너지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반가운 소식이다.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워킹그룹은 원전의 비중을 2035년까지 22~29%로 낮출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현재 원전 비중은 26%. 우선 원전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에너지정책을 환영한다.
이 제안이 채택되면 노후 원전의 폐쇄 여부는 물론,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원전 11기 사업도 영향을 받게 된다. 다만 ‘전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란 이유로 정부에 전기 요금 인상을 권고한 것이 걸리긴 한다. 정부는 공청회에 이어 올해 안에 에너지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란다. 원전을 대체할 수단으로는 신재생에너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편화까지는 시간이 걸리므로 액화천연가스(LNG)가 유력하다고 한다. 우선은 타당성이 있지만 앞으로는 태양광이나 연료전지발전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