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다시 한번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송도~청량리 노선 조기착공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해 녹색환경기금(GCF) 유치 때와 지난 8월 박근혜 대통령의 인천방문 때에 이어 벌써 3번째다. 특히 이번에는 세계은행(WB) 한국사무소와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D) 한국사무처의 송도 유치를 계기로 GTX 필요성이 더욱 커짐에 따라 다시 나선 것이다.
사실 GTX사업은 인천의 최우선 숙원사업이나 마찬가지다. 낙후된 인천의 미래를 송도에 걸고 있는 시로서는 GTX를 서울 등 외부와 송도를 연결하는 동맥으로 삼고 있으며, 송도가 명실상부한 국제도시로 발돋움하려면 이 같은 동맥은 필수요소로 판단해서 그렇다. 특히 서울~송도~인천국제공항을 잇는 GTX는 교통난을 겪고 있는 수도권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것으로, 지역의 균형발전적 측면에서도 매우 시급한 사업이다. 때문에 인천시는 지난 이명박정부 시절부터 최근까지 줄기차게 GTX 송도~청량리 구간의 우선 착공을 요청했다.
하지만 정부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이 같은 요청을 번번이 무시하고 있다. 또한 GTX사업의 우선순위에서도 뒤로 미뤄놓고 있다. 정부가 GTX 3개 노선 가운데 A구간(경기 고양~화성)만 먼저 착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인천시와 경기도가 제시한 송도~청량리, 일산~동탄, 군포~의정부 등 3개 노선의 GTX 사업 중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일산~동탄 구간을 우선 추진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들이대는 사업의 우선성에 대해서도 납득이 안 된다. 물론 그동안 한국개발원(KDI)이 신규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등을 근거로 경제성을 재평가한 후 결정된 것이긴 하지만 그 내용이 무엇을 근거로 했는지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인천 국제도시나 다름없다. 세계1위의 국제공항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송도경제자유구역이 있어서다. GTX가 이러한 인천을 서울과 연결시킨다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시너지효과는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 그런데도 ‘수도권 교통난 해소’라는 지엽적인 이유를 들어 송도~청량리간 GTX사업을 배제시킨다는 것은 일반인이보더라도 수긍이 가지 않을 일이다. 오죽하면 인천시민들이 10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하며 정부의 처사에 항의까지 하고 나섰겠는가.
송도에 들어서는 많은 국제기구의 활성화와 국제도시로서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지역의 균형발전적 측면에서도 GTX 송도~청량리 구간사업의 조기시행은 필연이라 볼 수 있다. 정부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이번 인천시의 촉구를 다시 한번 살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