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즈음 /권정일

누구나 즈음이 있고 그 즈음에서

서성거리는 자발적 고립이 있고



우리는 외로움을 가졌잖아



가지마

아무도 그립지 않은 것은 사치야



고운 음색으로 리듬 있게 흩날리며

반성 없이 꽃 피울 수 없어

느리게 자라 황홀하게

벌레 먹고 싶은

황금비를 쏟아내는

히말라야시다였잖니?



수천 개의 황금 종을 타종하며

내 심장의 즈음을 맴돌고 있는

노래를

어떻게 불러야 할까



허락 없이 짧게 나눈 이별처럼

허락 없이 길게 남은 키스처럼



아직 체온 같은 인상착의

누가 자꾸 눈물방울을

돌리고 있는 것 같다

쪼개진 눈물 같다



시다림과 간절함과

쓸쓸함이 헤어지는 시간

- - 계간 『시에』 2013년 봄호

 

 

 

시인이 발견한 서정의 타임머신 ‘즈음’은 영혼 없이는 갈 수 없는 카이로스의 시간이다. 외로움의 유전자를 가진 인간에게는 누구나 그 ‘즈음’이 있고 그 즈음에서 서성거리는 자발적인 고립이 있다. 그래서 우리들의 심장 안에는 그리움의 어느 절정에서 울리는 황금종이 있고 그 종소리가 노래로 울려 퍼지는 것이 시의 기다림 즉, ‘시다림’이다. 그러나 그 기다림은 허락 없이 짧게 나눈 이별이거나 허락 없이 길게 남은 키스처럼 간절함과 쓸쓸함이 만났다 헤어지는 시간이 되어 버린다. 시인이 아무도 그립지 않은 것은 사치라고 노래하듯이 이 계절 누군가 그리워지는 ‘즈음’에 서 있다면 그때 바로 나도 그대도 시인이 되거나 시가 되는 카이로스의 공간 어느 ‘즈음’에 서 있게 되는 것이다. /김윤환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