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시민들이 관심 가져야 할 도로명 주소

내년 1월1일부터 지번 주소가 사라지고 일제히 도로명 주소를 써야 한다. 불과 한 달 남짓인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혼란스럽다.

택배 등 배달업이 일반화됐지만 이들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조차 정착되지 않았다. 일반 시민들은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경기도와 경인지방우정청이 지난 9월 한 달간 우체국을 통한 우편물 4억3천여만통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이 가운데 16.5%에 가까운 7천만여통의 우편물만 도로명 주소가 표기됐다. 이러다가는 우편업무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번 도로명 주소 개편은 100여년 만에 이루어지는 큰 변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민들은 이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게 태반이다. 그만큼 앞으로 불편도 적지 않을 것이어서 걱정스럽다. 행정기관에서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주민들 대부분은 필요성을 절감하지 못 한다는 것이 문제다. 이번에 바뀌는 주소체계는 단순 주소만 바뀌는 게 아니라 일제침략에 의해 강제적으로 바뀐 주소를 되찾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시민들은 익숙하지 않아 도로명 주소 자체를 어려워하고 있다.

새 주소는 종전 지번 주소와 시·군·구, 읍·면까지는 같지만 리(里)와 지번 대신 도로명과 건물 번호를 사용한다. 동(洞) 이름과 아파트명은 괄호에 넣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사용하던 지번 주소는 1910년 일제 강점기에 토지조사를 목적으로 토지에 번지를 붙였던 방식이다. 따라서 지번의 순차성과 체계성이 훼손돼 집 등 위치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구나 지번 주소는 한 지번에 여러 건물이 있는 경우도 많아 생활주소로 사용하는 데는 혼선이 적지 않았다. 그래서 도입된 것이 도로명 주소다.

100년 동안 사용하던 지번 주소가 도로명으로 바뀌어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여된 도로명이 생소하기도 하다. 그러나 세계 OECD 회원국 모두가 도로명 방식의 주소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주소도 국제화를 위해 국제표준이 필요한 이유다. 때문에 국민들이 관심을 갖고 사용하지 않는다면 곤란하다. 무관심으로 인한 혼선은 결국 우리 생활의 불편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지금이라도 도로명 주소를 찾아보자. 행정기관에서도 얼마 남지 않은 기간 동안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쳐 정착에 준비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