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된 국가 중에 우리나라처럼 문화재를 홀대하는 나라도 드물 것 같다. 이와 관련해 본보는 그동안 꾸준하게 허술한 문화재 관리 실태를 고발하고 대책을 촉구했다. 최근에도 일본인 자객에 의해 살해당한 명성황후의 생가(도유형문화재 46호, 여주읍 능현리) 유적지 곳곳이 파손된 채 장기간 방치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또 지난해 7월 내린 집중호우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세종·효종대왕릉 주변의 수해 재발방지를 위해 능 중심 역사경관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매뉴얼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처럼 여론의 포화를 맞으면서도 문화재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원인은 인력난 때문이다. 그동안 도내 각 지자체별로 1~2명의 공무원이 30~50개 정도의 문화재를 관리해 왔다. 일손 부족으로 훼손된 문화재를 사후 보수하는 일에 급급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문화재청이 ‘문화재 돌봄사업’이란 것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재에 대한 일상관리를 통해 문화재의 훼손을 사전에 방지하면서 관람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광역자치단체에서 직접 기동 보수반을 운영하거나 시·도 관리·감독 아래의 민간단체와 위탁용역 등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전국 광역자치단체(또는 민간단체)에서 채용공고 등을 실시해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여성가장, 고령자(60세 이상), 장기 실업자, 저소득층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30% 이상 채용토록 권장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도내 문화재 517개소 상시관리를 위해 28명의 인부를 채용하고 현장에 배치해 문화재당 평균 1주 간격으로 순회 관리하고 있다. 이들의 업무는 배수로 정비부터 훼손된 문화재의 경미한 수리까지 다양하다.
도는 이들의 상시관리로 인해 문화재 보수정비에 들어가는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 문화재 돌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인력의 60%는 60대 이상의 고령자다. 따라서 노인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관계자의 자찬이다. 여기에 토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러나 겨우 28명이 담당하는 도내 문화재는 무려 517개다. 1명이 18개 정도의 문화재를 상시 관리해야 하는 것이다. 이건 무리다. 순찰만 하기도 벅차다. 따라서 문화재의 확실한 관리를 위해 문화재 돌봄사업은 더 확대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