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전 중국 광무제는 후한 시대룰 열었다, 그러나 건국초기 어수선한 틈을 타 대규모 반란이 자주 일어나고 관군마저 번번이 패했다. 어느 날 장수 마원이 반란군을 토벌 하겠다고 나섰다. 광무제는 그가 너무 늙었다며 말렸다. 그러자 마원은, 나이는 비록 62살 이나 갑옷을 입고 말도 탈 수 있다며 자신의 기량을 과시 했다. 광무제는 미소를 지으며, 노당익장(老當益壯)’이라며 출정을 허락했다. 늙어서 더욱 왕성하다는 뜻의 노익장 어원이다.
무병장수, 인간의 오랜 염원이었지만 평균수명이 50세를 넘은 건 불과 100여년 전이다. 장수국가라는 일본도 19세기 초 평균수명은 45세였다. 우리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조선시대 왕들의 수명조차 46세 안팎 이었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 당시 마원의 나이는 노인 중에서도 원로급이나 다름없었다. 이런 평균수명은 언제부터인가 환갑 잔치 조차 슬그머니 사라질 정도로 늘어났다. 그리고 이젠 칠순도 가족끼리 조촐하게 치르고 그 마저도 생략하는 집이 많다. 평균수명이 81세로 늘어난 탓이다. 따라서 지금 60대에게 노익장이란 수식어를 붙이면 어색하다 못해 창피하기 까지 하다. 80,90세나 되야 그나마 어울리는 세상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언제 센티내리언(centenarian), 즉 100세 아르신에게 넘겨 줄지 모른다. 하루가 다르게 기대수명이 늘고 있어서다. 올해 일본의 100세 이상 노인 인구가 처음으로 6만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10년 전 2만5554명에서 2.4배로 늘었다. 우리나라도 100세 이상 인구가 1만5000명에 이른다. 인구 10만명당 29.06명이니 일본(42.76명) 프랑스(32.50명) 이탈리아(29.42명)에 이에 세계 4위다.
‘스스로 늙었다고 느낀다. 이 나이에 그런 일을 왜 하느냐고 말하곤 한다. 내일을 기약 못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 미네소타의학협회가 정의한 노인의 기준이다. 마음가짐의 차원일 뿐 절대기준은 없다는 얘기다. 오늘(2일)이 노인의 날이다. 65세부터 노인으로 본다는 법적, 행정적 기준, 100세 시대에 걸 맞는지 한번쯤 되 짚어 봐야 하지 않을까.
/정준성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