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란 본래 그런 것’이라고 우리나라 국민들은 생각하지만 같은 사안에 대한 정치권의 판단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 남경필 지사의 ‘경기연정’에 대한 평가가 그렇다. 더 눈길을 끄는 것은 혹평을 한 사람이 같은 여당 새누리당 소속에다가 지역구조차 도청과 지근거리인 경기도 화성시 서청원 의원이라는 것이다. 반면 야당 소속으로서 지역구가 의정부인 문희상 의원은 “경기도 연정 성공은 대한민국 정치에 큰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의원은 2일 열린 국회 안행위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대체로 연정은 내각책임제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 상식인데, 경기 연정은 대통령 중심제의 첫 사례로 잘 진행되면 행정학 전문가들의 중대한 연구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경기도가 연정을 차곡차곡 시행해 나간다면 중앙정부에 경종을 울릴 수 있다”고 남 지사를 추켜세웠다.(본보 5일자 1면) 문 의원은 남 지사의 경기연정 사례로 ‘생활임금 지급’ ‘광역지자체 최초 인사청문회 도입’ ‘도의회 예산편성권 부여’ ‘도-도교육청 관계 개선’ 등의 사례를 칭찬하고 경기연정이 국민을 위한 정치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하지만 같은 당 서청원 의원은 연정에 대해 “야당 출신 사회통합부지사를 데려다놓고 어떤 장점이 있는가” “도 차원에서는 연정이 되지만 대통령제 하에서는 연정이 안 된다. 가능하다고 보는 것인가”라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사실 경기연정에 대한 평가는 이해 당사자마다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문 의원이 도 국정감사에서 자책한 것처럼 우리나라 정치는 ‘상생의 정치’가 아닌 죽기살기식 ‘공멸의 정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에서 남 지사의 경기연정은 우리나라 정치사에서 참으로 신선하고 의미 깊은 시도라고 하겠다.
연정의 핵심은 바로 상생과 협력이다. 남 지사는 지난 지방선거 때 부지사 직책에 야당인사를 등용하겠다는 공약을 했고 실제로 새정치민주연합의 추천으로 이기우 전 의원이 사회통합부지사로 취임했다. 아울러 전기한 것처럼 ‘광역지자체 최초 인사청문회 도입’ ‘도의회 예산편성권 부여’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5월 22일 오전 경기도를 방문한 슈뢰더 전 독일총리도 ‘경기도에서 이미 화합을 시작했다’고 경기연정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그의 말처럼 이념이 다르더라도 정당들은 국민을 위해 서로 신뢰하고 협력해야 한다. 협력은 존중과 신뢰가 바탕이다. 우리가 경기연정에 기대를 거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