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지역이 정부의 각종 규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얘기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첩규제 문제 해결과 교통·문화 인프라 구축 등이 절실하지만 정부는 지금까지 안보를 전가보도(傳家寶刀)처럼 내세우며 주민들의 절실한 어려움을 외면해왔다. 이런 불만이 지난 14일 양주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 정책콘서트’에서 분출했다. 또 북부발전을 위한 제안도 속출했다.
북부도민들은 남경필 지사에게 국지도 39호선 조기 추진, 산림자원 개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통일교육 특구 지정, 평화통일경제특구 지정, K-디자인 빌리지 조성사업, 별내선 복선전철 진접선 연결, GTX 파주 연장, 반환공여구역 합리적 개발, 전철 7호선 연장 및 교외선 재개통, 지하철 9호선 양정역 연결 등을 건의했다. 이에 남 지사는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이하 북부계획)을 밝히고, 이 지역 발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북부계획은 남지사의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낙후된 경기북부지역 발전의 중장기 비전을 설정하고 향후 10년간 경기북부 발전을 효율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마련하는 종합 계획이다.
경기북부를 ‘한반도 번영의 중핵지대’로 만들겠다는 것이 북부계획의 핵심이다. 도는 고양-파주, 구리-남양주, 의정부-양주 등 권역별 특화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고, 가구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디자인진흥원 설립 및 섬유특구 지정을 추진한다. 또 킨텍스와 한류월드, 방송시설 등을 연계한 영상 및 문화콘텐츠 클러스터 육성, 구도심 명품산업 특구지구 육성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런 경제발전계획 외에도 경기북부 5대도로 집중투자, 고속도로 조기 준공,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연장, 무가선 트램 도입 등 열악한 교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도 포함돼 있다.
아울러 미군반환공여지와 주변지역을 전략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한탄강 공동발전전략 수립, 문화예술 특화지역도 육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많은 일을 과연 모두 추진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북부계획은 방대하다. 그러나 이 사업들은 그동안 중첩규제로 어려움을 겪던 북부도민들에게 모두 필요하다. 남지사의 이날 발언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길은 그 무엇보다 통일’이라는 것이다. 경기북부는 통일한국을 이끌어갈 전초기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생각도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