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만산홍엽(滿山紅葉)

산 전체 면적의 20% 가량이 물들었을 때를 단풍 시작일로, 80% 이상 되었을 때를 절정일로 잡고 있다. 그렇다면 단풍이 물드는 속도는 얼마나 될까. 일반적으로 하루에 산 정상에서 아래쪽으로 35m, 북에서 남으로 20㎞를 간다고 한다. 남에서 북으로 하루 30㎞ 속도라는 꽃소식 보다 약간 늦다.

단풍은 보통 9월 말께 설악산 정상에서 시작돼 오대산 치악산을 거쳐 지리산 소백산 월악산 등으로 번져간다. 그리고 11월 내장산 주왕산 월출산까지 남하하면서 사라진다. 설악산 단풍이 지난 주말 절정을 이뤘다. 그리고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에 있는 지리산도 이번 주말쯤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시작점을 출발한 단풍이 꼭지점에 이르고 있는 형국이다. 따라서 전국 산은 지금 온통 붉은 물감을 뿌려 놓은 모습들이다.

흔히 단풍이 절정에 이른 것 을 ‘불탄다’라고 한다. 우릴 황홀케 하는 새빨간 단풍잎들 덕분이다. 시인 김영랑은 이러한 단풍을 “장광에 골 붉은 감잎 날아오아 / 누이는 놀란 듯이 치어다보며 / 오메, 단풍 들것네/추석이 내일모래 기둘리니 / 바람이 자지어서 걱정이리 /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 오메, 단풍 들것네.” 라고 노래했다.

조선후기 학자 이천상은 90일동안 머문다고 해서 붙여진 구추 단풍(九秋丹楓)을 ‘처처상림금수신(處處霜林錦繡新/곳곳에 단풍숲 금수인냥 새로우니), 구추홍엽승화진(九秋紅葉勝花辰/구월의 단풍잎이 꽃피는 봄철보다 낫구나)’라고 읊었다. 소설가 조정래는 ‘태백산맥’에서 “주황빛이나 주홍빛의 단풍들 사이에서 핏빛 선연한 그 단풍들은 수탉의 붉은 볏처럼 싱싱하게 돋아 보였다”며 지리산 피아골의 단풍절경을 묘사했다.

가을의 속도라는 단풍이 물드는 것을 보고 마음 설레지 않는 이가 있겠는가. 시간과 삶에 치여 마음의 여유를 갖고 즐기지 못하고 있을 뿐이지 단풍철이 오면 계절을 느끼는 감각은 오히려 더 예민해 진다. ‘봄철엔 모든 이가 시인이 되고 가을에는 철학가가 된다’고 한 이유도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 노을처럼 화려한 만산홍엽(滿山紅葉)을 보고 모든 것을 잠시 잊고 싶은 그런 계절이다./정준성 주필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