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산하기관에 전직 간부공무원과 전 시의원들이 대거 임명되면서 ‘전문성이 결여된 낙하산 인사’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산하기관장 및 간부는 현직 시장의 입김이 작용하는 자리여서 말로만 공모지 ‘내 사람 심기 보은인사’ 라는 비난 속에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8일 시와 지역 관가에 따르면 임기가 3년인 시설관리공단 이사장에는 시 국장 출신 A씨가 지난해 11월 취임했으며 경영지원부장에는 지난해 이 시장 선거캠프에서 사무장을 맡았던 B씨가 일찌감치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가 강도 높은 감사를 통해 전임 이사장을 해임처분하면서 이에 반발한 전 이사장과 소송으로 이어졌고 지난 7월 1심에서 패소한 안양시는 현재 항소한 상태다.
사무국장에는 전직 시 간부공무원 출신의 D씨가 지난 6월 임명됐으나 불과 3개월 만에 자진 하차했다. 후임에는 또 다른 시 간부공무원 E동장이 임명됐고 E동장은 지난달 말 명예퇴직이 처리된 뒤 불과 하루 만에 사무국장 임명장이 수여됐다.
이에 인사위원회를 통해 명퇴가 결정되기도 전에 공모에 지원하면서 절차상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인재육성장학재단 상임이사에도 시 과장 출신인 G씨가 지난 2일 임명됐다. G씨는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동안갑 지역 새누리당 시의원 공천을 신청했으나 탈락했다.
사무국장 자리를 없애고 상임이사가 그 업무를 맡도록 조직도 개편됐다. 전임 사무국장이 시의 강도 높은 감사를 통해 정직 1개월이란 중징계를 받고 올 6월 스스로 사퇴하면서 ‘자리 만들기’ 감사라는 구설도 올랐다.
시설관리공단 행정처장(지방공기업 2급)과 시설처장에도 공개모집 결과 전 간부공무원 H씨와 시 공무원 출신 공단 간부였던 I씨 단 두 명만 지원했고 지난 6일 모두 합격됐다.
창조산업진흥원 K원장은 시 국장 출신이고 L본부장도 시 과장 출신이다. 올 연말 이들의 임기만료를 앞두고 벌써 후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앞서 시장 취임 후 임명된 M 비서실장도 전직 간부공무원 출신으로 1년도 안 돼 물러났고 후임에는 전 시의원 N씨가 임명됐다.
이를 두고 한 지역 인사는 “공모에 지원율이 저조한 것은 어차피 지원해봤자 낙하산 인사에 들러리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지적하고 “신선한 전문 인사를 뽑아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하는데 퇴임한 간부공무원이나 시장과 같은 새누리당 출신 전 시의원들이 대거 임용되면서 왜 공모를 하는지 한숨만 나온다”고 토로했다.
/안양=장순철기자 j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