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가계부채가 3개월 연속 2조원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데다 제1금융권은 줄고 제2, 3금융권은 늘어나는 등 양적 증가는 물론 질적으로도 악화되고 있다.
19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의 ‘2016년 7월중 경기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도내 금융기관(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의 7월중 여신이 3조7천47억원 늘면서 지난달(2조6천486억원)에 비해 증가규모가 39.9% 늘었다.
금융기관별 여신은 예금은행(1조6천826억원→2조6천338억원)과 비은행금융기관(9천660억원→1조709억원) 모두 전월 대비 증가규모가 확대됐다.
예금은행의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수요 등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기업대출(-61억원→1조4천501억원)이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크게 전환됐으나, 가계대출(1조6천801억원→1조2천308억원)은 정부정책에 부응한 은행의 가계대출심사 강화로 주택담보대출이 줄면서 증가규모가 축소됐다.
비은행금융기관은 기업대출(3천155억원→3천643억원)에 비해 가계대출(6천703억원→7천853억원) 증가규모가 컸다.
이는 비교적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제1금융권인 예금은행에서 밀려난 가계 주체들이 제2, 3금융권인 비은행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가계대출의 질이 악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실제 경기지역 비은행금융기관의 1~7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4조1천63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조3천369억원)보다 3배 이상 확대됐다.
또 7월중 도내 금융기관 여신 중 가계대출은 2조160억원이 증가해 전월(2조3천504억원) 대비 증가규모가 축소됐으나, 지난 5월(2조3천6억원) 2조원대 진입 후 3개월 연속 2조원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 가계부채의 질과 양 모두 문제가 되고 있다.
도내 금융기관 관계자는 “비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은행에 비해 적지만 서민을 상대로 한 것이 많아 부실화할 경우 금융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수 있다”며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가계부채의 성격과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