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9일 미국 제4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한국·미국 간 통상·무역에는 먹구름이 드리웠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운동 기간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성향을 드러내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비롯해 미국이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전면 재검토와 재협상을 일관되게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섬유·의류나 자동차부품 등의 분야에선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공공인프라, 석유·가스, 항공방위, 의료·제약 등 일부 분야는 관련 시장이 확대되면서 우리 기업의 미국 진출 기회도 그만큼 많아질 것으로 기대됐다.
우리나라에 대한 통상정책 중에서 가장 먼저 타깃이 되는 건 한미FTA다.
트럼프는 한미FTA를 미국 내 10만 개의 일자리를 앗아간 조약으로 규정하며 재협상 의지를 밝혔고, 핵심 측근인 제프 세션스 상원의원과 왈리드 파레스 외교 고문도 트럼프 집권 시 한미FTA를 원점에서 재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최근 들어 가뜩이나 높아진 수입규제 장벽은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반면 기회 요인도 있다.
트럼프는 임기 동안 1조 달러의 공공인프라 투자를 공언했다.
공공인프라 재건은 건설업뿐만 아니라 철강, 운송, 건설 기자재 등 관련 분야의 시장을 함께 키우고 대규모 공공지출이 소비자 지출로 이어지면서 자동차, 가전, 정보통신(IT), 의류제품 등 일반 소비재 수요가 증가해 우리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항공방위, 의료·제약분야에서도 새로운 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무역협회는 “트럼프는 미국이 체결한 무역협정 때문에 미국의 일자리가 감소했다는 점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을 바로잡고자 노력해야 한다”며 “특히 양국 간 무역과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 현지 생산이 미국의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