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 미만의 지출로 한 달을 살아가는 가구 비율이 금융위기 직후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전체 가구 중 월평균 지출 100만원 미만 가구(2인 이상 가구 실질지출 기준) 비율은 13.01%로, 2009년 3분기(14.0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3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10∼12% 사이를 오가던 월지출 100만원 미만 가구 비율은 금융위기 당시 13∼14%까지 치솟은 뒤 다시 8∼11% 수준으로 안정을 찾았지만 지난해 2분기 이후 다시 상승, 올해 1분기 11.96%, 2분기 12.57%를 거쳐 지난 3분기 결국 13%를 넘어섰다.
전체 소비지출 구간별로 가구 분포 추이를 살펴보면 월지출 200만원 미만 가구 비중은 늘어나는 반면, 월지출 200만∼400만원 가구 비중은 반대로 줄어들었다.
월지출 100만∼200만원 가구의 비중은 금융위기 당시 37∼41%까지 상승했지만 2013년 1분기 31%대까지 떨어진 뒤 최근 다시 36∼38%대로 상승하는 추세다.
반면 금융위기 당시 26∼30%였던 월지출 200만∼300만원 가구 비중은 이후 32% 내외를 유지하다 다시 최근 다시 28%대로 떨어졌다.
월지출 300만∼400만 가구 비중 역시 금융위기 당시 10∼12% 였다가 14∼16%까지 올라간 뒤 최근 다시 11∼12% 내외로 주저앉았다.
월지출 400만원 이상 가구 비중은 매 분기 등락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합세를 보이며 9%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 구조조정, 높은 실업률,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가계들이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내다봤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