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서민물가 인상에 대응해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기로 했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1월에 가스요금 인상요인이 있었지만 공공기관 경영 효율화로 인상요인을 흡수하고 요금을 동결키로 했다. 공공요금은 되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공공요금의 안정적 관리를 강조하는 것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에 그치고 있지만, 일부 농·축·수산물을 위주로 물가 상승률이 고공행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보다 1.0% 오르는 데 머물렀지만, 배추는 69.6%, 무 48.4%, 양배추 33.5% 뛰며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였다.
최근에는 조류인플루엔자(AI)로 달걀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달걀 대란’까지 빚어지며 밥상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 차관보는 “최근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두 달에 한 번씩 조정하는 가스요금도 인상할 요인이 생겼지만, 앞으로도 상황을 보고 공공기관이 인상요인을 흡수할 수 있으면 최대한 흡수할 것”이라며 “인상 시기도 분산하겠다”고 강조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태스크포스(TF)를 꾸린 달걀 문제에 대해서는 “어제(8일) 달걀 수입에 필요한 검역·위생 절차를 마친 만큼 언제든지 달걀이 수입될 수 있는 상황이 됐다”며 “지금은 1개 업체가 달걀 160만개를 수입하는 것으로 돼 있지만 앞으로 그 양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국내 달걀 반출도 늘리기로 했다.
이제까지 AI 발생지역에서 반경 3㎞를 방역대로 보고 달걀 반출을 제한했으나 올 초부터 방역 조건을 충족하는 농장의 달걀 반출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 차관보는 “일주일에 1번, 30∼50%를 반출하기로 했는데 설을 대비해 100% 수준까지 반출해서 공급을 맞추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 차관보는 설맞이 제수용품 물가에 대응해서는 “내일(10일) 국무회의에서 설 성수품 공급 확대, 가격 감시활동 강화 등 설 성수품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