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은행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이 높아지면서 가계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에서 고정금리 대출은 34.6%이고 나머지 65.4%는 금융채를 비롯한 시장금리, 수신금리 등과 연동된 변동금리 대출인 것으로 집계됐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4월 말보다 0.1%p 올랐다.
지난 5월 은행이 새로 취급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61%로 4월보다 4.1%p 높아졌다.
앞서 올 1분기(1~3월)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신규취급액 기준 59.5%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1.6%p 상승했다.
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64.1%)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변동금리 대출이 눈에 띄게 확대된 것은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 상승 폭이 변동금리보다 크다”며 “변동금리 대출이 늘어난 것은 은행과 소비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은행은 금리가 오르면 수익성을 높이려고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하는데, 가계는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가 뛰면 변동금리 상품을 선택할 개연성이 커진다.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노력으로 은행 가계대출 잔액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2011년 말 90.7%에서 지난해 65.5%로 꾸준히 하락했다.
그러나 여전히 60%를 넘는 변동금리 대출은 금리 상승과 맞물려 가계의 고민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은행 가계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연 3.47%로 2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변동금리 확대는 내수 진작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금리유형별 주택담보대출과 경기변동’이라는 논문에서 금리가 상승할 때 변동금리·일시상환 차입자의 소비 감소 폭이 고정금리·분할상환 차입자보다 크다고 분석했다./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