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복효근


지독한 벌이다


이중으로 된 창문 사이에

벌 한 마리 이틀을 살고 있다


떠나온 곳도 돌아갈 곳도 눈앞에

닿을 듯 눈이 부셔서


문 속에서 문을 찾는




-당신 알아서 해

싸우다가 아내가 나가버렸을 때처럼


무슨 벌이 이리 지독할까


혼자 싸워야 하는 싸움엔 스스로가 적이다

문으로 이루어진 무문관


모든 문은 관을 닮았다


- ‘창작과 비평’ / 2015년 겨울호



 

어떤 사물의 현상이나 대상을 포착해 시로 치환, 승화시키는 능력은 시인에겐 축복이며 필수다. 복효근 시인에겐 특히나 그 능력이 특출한 것 같다. 벌에게서 단박에 벌(罰)로 전이되는 상상력은 동음이의어임에도 불구하고 무릎을 치게 한다. 그것은 아마도 문(門)이라는 매개체가 있기에 가능했으리라. 기실 문이란 공간과 공간을 획정하는 물질일 뿐 깨부수면 그뿐인데 그 문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차안과 피안처럼 엄청나다. 들어온 곳도 나갈 곳도 같은 문인데 벌은 어리석게도 그 속에 갇혀 스스로 형벌을 감수한다. 또한 시인은 무슨 잘못을 했기에 아내의 말 한마디만으로도 문 안에 스스로를 가두어 지독한 벌을 받아야 했을까. 수행승이 스스로를 무문관 안에 위리안치하고 화두와 씨름을 하듯이, 자신을 무섭게 몰아쳐 의단을 타파해야 홀연한 깨달음에 이르듯이. /이정원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