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심해어

                              /박용진
 
물방울 속에

물방울이 있었다

내가 태어나고

네가 태어났다

가만히 몸을 말고 있던

가만히 착하게 사랑하고 있던

내 딸이며 누이이며 아내이며

내 투명한 고향

비도 내리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고

결도 없는 물방울 속에

오로지 우리 둘만 있어

네 손끝에서 피어나던 꽃

내 손끝에서 터져 나가던 꽃

배 속에 알이 가득 차 있었다

- 박용진 시인의 시집 ‘미궁’ 중에서

 

 

이 맑고 투명한 시가 왜 슬픔을 자아내는 것일까. 물방울처럼 이렇게 가만히 몸을 말고 있는 시가 왜 아프게 다가오는 것일까. 가만히 착한 사랑만을 노래한 이 시에서 왜 눈물방울이 연상되는 것일까. 역설적으로, 태초와는 달리 지금은 억수로 비가 내리고 바람만 몰아쳐 불어서 일까. 지금은 거칠고 사나운 결들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어서 일까. 네 손끝과 내 손끝에서 피어나던 꽃의 시절은 어디로 갔나./김명철 시인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