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온라인 개학을 이틀 앞둔 14일 오전 학습관리시스템(LMS) e학습터 등 원격수업 플랫폼에 접속 오류가 발생해 온라인 수업에 불편을 겪었다.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0분부터 지역별 e학습터 로그인에 장애가 발생해 서버 재가동 등 긴급조처 후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e학습터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교육과정에 맞춘 학습자료가 탑재돼 있으며, 교사가 ‘온라인학급’을 개설해 학생들을 관리할 수 있다.
KERIS 관계자는 “e학습터는 학교가 있는 시·도별로 나눠 (다른 페이지에) 접속하는 방식인데 일부 지역에서 로그인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교사가 ID를 발급해준 학생들은 문제가 없는데 ‘에듀넷’이라는 사이트 ID로 e학습터에 로그인하려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다만 서버의 (접속) 용량은 충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KERIS는 이날 오후 9시부터 15일 오후 1시까지 e학습터 관련 인프라를 증설·확대하는 작업을 계획 중이다.
다만 이날 로그인 오류는 접속자가 많이 몰리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인프라 증설·확대와 함께 전반적인 시스템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생 대상인 EBS 온라인클래스는 이날 오전 9시 45분부터 약 1시간 정도 접속이 불안한 현상이 발생했다.
EBS 측은 오전 10시쯤 방송자막을 통해 “일부 고교 신규접속자의 온라인클래스 지연 현상이 발생했다”면서 “대부분 복구됐으며 이른 시간에 완전히 복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날에도 고등학생 EBS 온라인클래스 접속이 2시간 40분간 지연됐고, 9일에도 1시간여간 접속 장애가 있었다.
이로 인해 16일 2차 온라인 개학 원격수업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6일에만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2학년, 고등학교 1~2학년 등 312만명에 기존 중3·고3(86만명)까지 합치면 모두 400만명이 동시에 접속하기 때문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전날 고양시 EBS 본사를 방문해 “2차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LMS 접속지연 등 애로사항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주철기자 cj38@